정보처리기사 실기 파트에서 어려워하는 부분이 뭐가 있을까요??
정보처리기사 시험을 준비 중인데 필기보다 실기 파트가 더 어렵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실제로 실기에서 가장 많이 어려워하는 부분이나 자주 실수하는 영역이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아하(A-ha!) 활동 융복합전문가 이중철 정보처리기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을 앞두고 막연한 불안감을 느끼셨을 것 같네요.
저의 경험과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명쾌하게 답변해 드릴게요! ✨
=======
1. 질문의 요지:
-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에서 수험생들이 가장 어려워하거나 자주 실수하는 부분이 무엇인지 궁금해하시는군요.
2. 답변:
- 가장 중요한 점: 정보처리기사 실기에서 수험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은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프로그래밍 언어)'와 'SQL 응용(데이터베이스 SQL)' 파트입니다.
3. 구체적인 설명 및 근거:
- 이유: 첫번째 이유는 필기 시험이 객관식으로 지식을 묻는 방식이라면, 실기는 서술형, 약술형, 코드 작성형 등 직접 답안을 작성해야 하는 주관식 시험이기 때문이라는 점입니다.
두번째 이유는 시험 출제범위 및 시험유형 대변혁기 이후, 지금까지 지속적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는 점입니다.
추가설명: 2020년 2회차까지 시험 기준 NCS기반 시험범위로 명시한 것 이외에도, 이전 필기 범위에서 문제가 출제된다거나 예전 기출, 혹은 시중에 나와있는 참고서들에서는 볼 수 없었던 신기술같은 몇몇 용어들이 시험에 등장하는 등 프로그래밍 언어와 SQL은 단순 개념 암기를 넘어, 직접 코드를 작성하고 결과를 예측하는 능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문제집에서 찾아볼 수 없고 전공수업에서 많이 들었을 법한 내용들이 회차마다 지속 출제되면서, 관련 전공자는 정말 쉽게 합격하지만 비전공자 수험생들은 갈수록 자격증을 취득하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4. (참고)실제 사례/대응방안 등:
① 프로그래밍 언어 (C, Java, Python): 문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문제의 로직을 파악해 코드를 직접 작성해야 합니다. 알고리즘 관련 문제나 디버깅 문제에서 자주 틀립니다. 특히 변수의 범위, 조건문, 반복문, 배열 등의 개념을 혼동하여 실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② 데이터베이스 SQL: 필기에서는 SQL 문법의 종류나 개념을 묻지만, 실기에서는 직접 SELECT, INSERT, UPDATE, DELETE 문을 작성하거나 주어진 SQL문의 실행 결과를 예측하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조인(JOIN)이나 서브쿼리(Subquery)처럼 복잡한 문법에서 실수가 잦습니다.
③ 업무프로세스 및 신기술: 이 파트는 암기 위주의 문제이지만, 용어가 매우 다양하고 범위가 넓어 확실하게 암기하지 않으면 답안을 작성하기 어렵습니다. 평소에 자주 접하는 기술 트렌드와 관련된 용어들을 꼼꼼하게 정리하고 암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궁금증이 조금이라도 해소되셨기를 바랍니다.
이상, 아하(A-ha!) 활동 융복합전문가 이중철 정보처리기사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원우 정보처리기사입니다.
보통 어려워 하는 부분이 알고리즘이나 SQL입니다.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고 직접 손으로 해보며 답을 찾는경우가 많아 시간이 많이 걸리기도 합니다.
기출문제를 통해 반복 연습하시면 좋은 결과 있지 않을까 합니다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