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에도 금리 인상이 계속 될까요?
23년에 경제 전문가들은 금리8%이상으로 전망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자 부담으로 점점더 어려워 지고 있습니다
23년에도 금리는 계속 오를까요?
전문가적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로서는 2023년도 상반기까지는 지속해서 미국의 금리인상이 예정되어 있어서 우리나라의 경우도 내년 중반까지는 금리인상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낮아지고는 있으나 목표인 2%대까지 도달하기 위해서 앞으로 금리인상은 추가적으로 현재4%에서 최대 1.75%까지 추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3%에서 내년 중반에 최대 4.75%까지 금리가 도달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가급적이면 대출상환을 먼저하시고 주식이나 코인에 대한 투자는 하지 마실것을 당부드리고 싶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의 경우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가장 중요한 요소인데 시장의 전망으로는 내년 상반기 까지는 지속적으로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하고 잇습니다. 따라서 궁긍적으로 미국의 기준금리가 5% 전후가 될때까지는 금리가 계속 오른다고 생각하셔도 무방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미국의 물가지수(CPI, PPI)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와 어느정도 속도조절이 예상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금리인상이 멈출것이라는 예상을 하기에는 시기상조일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 또한 이번 금통위를 통해 금리인상이 이루어질 것이다라고 예상하는 경우가 많으며, 개인적으로는 내년 상반기정도까지는 큰 이변이 없는 한 기준금리의 인상기조가 어느정도 유지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한국의 기준 금리는 3%이고 미국의 기준 금리는 4%입니다. 11월 한국은행 금통위에서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예상됩니다. 8%는 시중 금리를 말씀하시는 듯한데 3% 기준 금리 시 담보대출 금리가 5~6%가 된 점을 고려하면 미국 기준 금리 수준인 4% 내외가 되면 시중 금리도 8% 이상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큽니다. 최소 내년 상반기까지는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현재 보다 1% 내외 기준 금리가 더 오를 가능성도 충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