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산부인과 이미지
산부인과의료상담
산부인과 이미지
산부인과의료상담
완벽한병아리175
완벽한병아리17521.04.23

출산 이후 치과치료는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출산이후 치과(발치, 신경치료 등)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임신이후 치아가 아팠지만 출산이후 치료하려고 기다렸어요 지금은 4개월정도 지났는데 아직 인몸이 부어있고 전체적으로 흔들리는것 같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용균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츨산후 산후조리가 끝나면 치과치료는 가능합니다.

    단 모유수유를 하신다면 치과치료시 사용하는 마취약이나 처방하는 약에 주의가 필요하므로 치료전 치과의사에게 말씀하시고 치료 받으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4개월이 지났다면 현재는 가능합니다. 보통 임신 기간에만 조심해야하며 출산 이후에는 치과 치료가 대부분 가능합니다. 다만 환자분의 몸 컨디션이 많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컨디션이 회복된 이후에 하는 것이 좋으며 응급한 경우라면 출산하셨다면 지금이라도 가능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성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출산 후 치과치료가 언제부터 가능한지 궁금하시군요.

    출산 후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면 일반적인 치과치료도 가능하며 치아의 통증이 있다면 빠른 시일 내에 진료받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발치나 외과적 시술은 출산 6개월 이후로 미루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모유 수유 중이라면 항생제나 진통소염제 처방이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치과의사에게 이 점을 알리시는 것이 좋습니다.

    치과마취제인 리도카인의 경우 3~4 시간이 지나면 마취제 성분이 분해되어 배출되므로 치과치료를 받기 전에 수유를 하시고 치료 4-5시간 이후 수유를 하시면 더 안전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출산하셨다면, 전반적인 치과치료는 산후조리 이후 몸이 어느정도 회복되면 가능합니다.

    잇몸이 부어있다면, 스케일링 및 잇몸치료가 필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4개월정도 지났다면, 치과치료가 가능하니 치과로 내원하여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스케링이나 충치치료나 신경치료 및 발치 모두 출산 직후부터 받으셔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모유수유중이라면 치과에서 사용하는 약제들이 모유를 통해 아이에게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마취가 필요한 치료의 경우, 사전에 담당 선생님께 말씀드리고 마취를 최소로 하는 것이 좋으며, 마취 후 5~6시간정도는 수유를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사랑니 발치 등에서 항생제나 소염제의 약처방이 필요한 경우에는 수유가 끝난 뒤로 진료를 미루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