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단팥소보로크림빵
단팥소보로크림빵

태종이 시행한 양전사업이 무엇인가요?

조선의 왕인 태종이 최초로 실시한 양전사업이라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역사에서 처음으로 했다는데 양전사업이 무엇이고 목적이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태종 때 실시한 토지 조사 사업입니다. 백성들에게 조세를 징수하여 국가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 양전 사업을 20년마다 실시하고 양안(토지 대장)을 작성하였습니다. 임진왜란 후 광해군 때 양전(量田) 사업을 실시하였으며 대한 제국 때도 이를 실시하여 지계(토지 대장)를 발급하였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양전 사업 [量田事業] (Basic 고교생을 위한 국사 용어사전, 2001. 12. 10., 황병석)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양전이란 토지의 면적을 측량하고, 이 토지가 누구의 소유인지 정리하는 일입니다. 그렇게 조사한 내용을 토지대장에 작성하여 세금을 부과하는 참고자료로 쓰는 겁니다.

    양전사업은 국가 재정 확보에 도움을 주기위해 시행하였습니다.

    옛날에는 세금을 논밭의 곡식으로 거뒀습니다. 그렇다면 세금을 걷기 위해서는 토지가 어디에 있는지, 누가 경작하고 있는지, 얼마만큼의 곡식을 생산하는지를 알아야겠죠. 더욱이 조선은 토지면적을 계산할 때 실제 면적이 아닌 생산량을 기준으로 했기에 이런 조사는 필수였습니다. (쌀 300두를 생산하는 크기를 1결로 정함) 다만 전국적인 토지 조사는 많은 행정력이 필요해 양전은 20년에 한 번씩을 원칙으로 했고, 실제론 원칙보다 더 나중에 이뤄지기도 했습니다.

  • 양전(量田)사업이란 실제 경작할 수 있는 토지 조사 사업입니다.

    이 사업을 실시한 이유는 국가 재정 확보를 위한 토지 조사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양전사업은 조선 태종때 실시한 토지 조사 사업으로, 백성들에게 조세를 징수하여 국가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 양전 사업을 20년마다 실시하고 양안을 작성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양전 사업은 국가 재정의 기본을 이루는 전세를 징수하기 위해 전국의 전결 수를 측량하고 누락된 토지를 적발하여 불법적으로 탈세를 행하는 토지가 없도록 한다는 점과, 수확량에 따라 토지 면적을 표시하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결부제하에서 전세의 합리적인 징수를 꾀하기 위해 실시되었습니다. 따라서 양전은 중세 사회의 토지 제도 위에서 그 토지를 운영하기 위한 첫 작업이었으며, 이러한 토지 제도를 전제로 한 전정의 기초를 만드는 일이었습니다. 양전을 통하여 전국의 결총이 확정되면 그에 따라 각 지방의 전결 세액이 확정되고 토지마다 그 세액을 배정하여 징수하였습니다.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후 개혁파 사대부는 과전법 실시를 준비하는 기초 작업으로 양전을 시행하였습니다. 이것이 1388년부터 1389년까지 시행된 기사 양전이었습니다. 기사 양전은 경기와 남부 6도에 한해 시행했으며, 이에 따르면 수전 1결당 조미 30두로 하며 한전 1결마다 잡곡 30두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1결은 각기 전품의 비척에 따라 실제 면적을 달리하는 수등이척과 동과수조의 각등 전결을 보편적으로 가리킵니다. 양전의 척도는 농부의 손가락 척도, 즉 지척을 근거로 했으며 이러한 방식은 이후 계속되었습니다. 전품은 상⋅중⋅하 3등전으로 파악하였는데, 이는 휴한하는 빈도가 아닌 토지의 비옥함과 척박함에 따라서 파악하였습니다.

    사회가 안정되어 감에 따라 새로운 토지가 증가하여 새로운 양전을 필요로 하였습니다. 이에 1405년 다시 남부 6도에 대한 양전이 있었으며, 1413년에는 양계 지역을, 1419년에는 제주 지방을 양전함으로써 과전법 성립 28년 만에 수등이척의 양전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