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종교는 왜 몰락했나요?
이집트 종교는 기원후 100~200년경에 급속히 몰래했는데 어떤 이유로 이집트 지역에서 이집트종교가 몰락하고 빠르게 그리스도교의 개종이 이루어졌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클레오파트라 7세가 기원전 30년에 자살한 후 로마의 황제가 프톨레마이오스의 왕좌를 대신해 이집트의 파라오가 되면서 이집트는 로마 제국의 속주가 됩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종교 제도는 이집트가 사실상 로마 제국의 식민지가 되면서 변하게 되었고 이시스 숭배의식은 그리스와 로마를 비롯한 해외에서 주목을 받게 되었으며 헬레니즘 문면화되어 로마 제국 전체에 퍼지게 됩니다.
그러나 정작 이집트에서는 이집트 종교의 신학과 신앙을 비롯한 교세는 신전이 있는 섬과 지역에 한정되는 소규모로 점점 축소되게 됩니다.
이집트 종교는 결국 기원후 1세기에 배타주의적 일신교인 기독교가 유입되면서 더욱 쇠퇴, 서기 383년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가 기독교를 로마 제국의 국교로 삼았고, 이집트를 비롯한 모든 로마 제국의 영토에 있는 이집트 종교 관련 신전은 이교도로 취급되어 강제로 폐쇄되었습니다.
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에도 이집트 종교를 믿는 사람들이 종종 있었으나 사실상 죽은 종교가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집트 종교가 이집트 자체 문화도 큰데 이게 외부와 접촉되면서 영향력이 약해졌습니다. 그래서 그리스도교같은 경우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로 인해 희망을 주는 매력이 있었는데, 이집트는 파라오만 죽은뒤에 신과 함께할 수 있는 약간 차별성이 있어서, 그리스도교에 밀렸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안경국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기원전 18세기부터 7세기까지의 변화: 이집트의 종교는 기원전 18세기부터 기원전 7세기까지 약 2500년간 계속해서 변화하였습니다. 이 기간 동안 여러 외래 문화와 종교적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로마 제국과 기독교의 전래지역에서 전해진 새로운 종교들의 확산으로 인해 이집트 종교가 약화되었습니다.
2.기독교의 도입과 확산: 로마 제국이 이집트를 지배하면서 기독교가 확산되었습니다. 4세기에는 로마의 제국적 종교로 받아들여졌고, 5세기에는 정식으로 국교로 선포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이집트의 토착 종교와 기독교 사이에 신앙과 문화적 갈등이 발생하였고, 많은 이집트인들이 기독교로 전환하게 되었습니다.
3.이슬람교의 확립: 7세기 초, 이슬람 교리를 전하는 이슬람교가 아랍반도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슬람교는 빠르게 확산하며 이집트 지역을 점령하였고, 이집트는 이슬람 교리의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이집트의 기독교와 토착 종교가 더욱 약화되었습니다.
4.정치적 변화와 문화적 영향: 이집트는 여러 외래 문화와 제국들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종교적 변화와 연결되었습니다. 이집트의 정치적 변화와 문화적인 변화가 이집트 종교의 몰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결합하여 이집트 종교가 점차적으로 약화되고,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확산으로 인해 더 이상 주류 종교가 아니게 되었습니다. 이집트 종교는 현대에 이르러 거의 사라져 버렸지만, 그 역사와 유적은 이집트의 문화 유산으로 남아있고 많은 연구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집트의 인구는 약 8천만인데 이중 약 10% 인 8백만에서 1천만 정도가 기독교인이고 나머지 90% 는 이슬람 입니다. 이집트에 기독교가 정식으로 전해지게 된 것은 예수그리스도의 열 두 제자 중 하나인 마가Mark에 의해서라고 한다. 기원후61년 무렵 마가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 와서 처음으로 기독교를 전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지금도 알렉산드리아에는 성 마가 교회가 존재하며, 이집트 콥틱 정교회의 초대 교황은 마가로 돼있습니다. 당시 이집트는 로마제국의 통치하에 있었지만 유대인들이 다수 알렉산드리아에 공동체를 이루고 살고 있었는데, 걔중 유대인 구두 수선공이 마가에 의해 예수를 믿게 됐으며 이를 시작으로 전파가 진행됐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