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보험하는데 연금저축펀드도 할까요
연금보험 비과세라서 하는데 연금저축펀드가 꼭 필수일까요. 장기 유지하면 연금보험은 세금이 아예없어서 선택했는데 연저펀은 세액공제 받고 나중에 연금 수령할때 세금을 조금이라도 떼니까요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비과세 연금보험을 갖고 계신 것은 좋은 점이기는 합니다. 다만 연금보험은 다른 금융상품으로 이체가 안되기 때문에 연금보험에서 노후자금을 마련해야 합니다. 연금저축펀드는 연금저축보험간 이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연금저축보험으로 노후자금을 마련하면서 연금 개시 1년을 앞두고 연금저축펀드로 이체해서 불리는 식으로 활용하면 좋습니다. 연금저축펀드는 99만원까지 세액공제가 되고요. 과세이연도 가능합니다.
연금 수령 시 연금소득세를 부과하는데요. 3.3~ 5.5% 과세하고요. 직접 ETF, 펀드 등을 운용할 수 있으며 시장에 따라 수익률은 높을 수 있습니다. 원금보장은 없고요. 손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절세나 장기 투자 수익 추구할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도 있는 것이 좋은 경우는 연 600만원 한도 내에서 최대 90만원까지 세금 환급이 가능하고요. 특히 직장인이라면 연말정산에 큰 도움이 됩니다. ETF나 글로벌 펀드에 투자하면 물가 상승률을 상회하는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고요. 연금보험은 안정성, 연금저축펀드는 성장성을 가져가면서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병행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석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어쨌든 연금저축펀드도 세금을 나중에 떼는 효과를 누리면서 펀드가 굴러가고, 세율자체가 낮게 분리과세 되는 항목이라서 나중에 건강보험료 폭탄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다른 연금상품이 다 있으시다면, 다음 플랜으로는 추천드리는 편입니다.
내가 일을 하지 못하는 시기에 받는 연금은 세금한푼한푼이 무척 중요하게 다가올 테니까요 ^^
안녕하세요. 이민욱 보험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펀드를 하는것 자체는 나쁘지 않습니다만
앞으로의 미래가 조금 어두운게
① 내가 받는 혜택은? 납입하는 원금의 16.5%만큼 세액공제
② 추후 뱉어내는 세금은? 몇십년의 투자 이후 불어난 금액에서
연금으로 받으면 3.3~5.5% (보통 5.5%) 공제
일시금으로 받으면 16.5% 공재
물론 몇십년뒤의 물가인만큼
같은 가치가 아니기도 하겠지만
중요한것은 '그 당시의 세법'을 따른다는 것 입니다.
선진국의 요건 중 하나는 높은 세율입니다.
세금이 많으면 그만큼 나라에서 만들 수 있는 혜택이 많아지고
서비스가 좋아지겠죠.
단순히 이자소득세만 생각해도
우리나라의 15.4% 대비 6, 70% 이상 떼어가는 나라도 있고요.
즉, 앞으로 세율이 늘어나는 일이 생길텐데
내가 받은 혜택보다 훨씬 많이 뜯기게될 상황이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연금저축펀드자체도 잘 굴려야하고,
세액공제를 받아 생기는 자금 또한 이윤을 만들어내야합니다.
정확한 재무 상담을
따로 받아보시는걸 권장드립니다.
설계사들이 재무설계사다 이런건 믿지 마시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