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2

러일전쟁의 역사적 배경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러시아와 일본이 전쟁한 역사가 있더라고요

저는 역사에 무지하다보니 어떻게 러시아와 일본이 전쟁을 하게되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러일전쟁의 역사적 배경을 알려주세여~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러일전쟁의 역사적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ㅁ

    청일전쟁 결과 시모노세키조약(下關條約)이 체결됨으로써 일본이 요동반도(遼東半島) 영유를 확정하였다.

    이에 러시아는 삼국간섭을 주도함으로써 이를 좌절시키고 일본에 대항하기 위한 러·청비밀동맹을 체결함과 아울러 동청철도부설권(東淸鐵道敷設權)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독일의 자오저우만(膠州灣) 조차를 계기로 1898년 여순(旅順)과 대련(大連)을 25년간 조차, 만주를 세력권화하려 하였다.

    한국에서도 을미사변 이후 4개월 만에 아관파천을 성공시켜 친러정권이 수립되기는 하였지만, 러시아는 시베리아 철도가 완성될 때까지는 일본과의 타협을 우선시하는 정책을 폈다.

    한국 문제를 둘러싸고 러·일이 1896∼1898년 사이에 맺은 베베르·고무라(Weber·小村)각서, 로바노프·야마가타(Lobanov·山縣)협정 및 로젠·니시(Rosen·西)협정 등이 바로 이것들이다.

    그러나 북중국에서 일어난 의화단란(義和團亂)이 만주로 파급되자(1900), 러시아는 동청철도를 보호한다는 구실을 내세워 만주를 무력 점령하고, 난이 진압된 뒤에도 철수를 거부하였다. 이에 대해 일본에서는 영일동맹론과 러일협상론으로 대응 방안이 갈렸으나, 결국 1902년 1월 영일동맹이 체결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러시아는 러불동맹의 적용 범위를 아시아로 확대시키려 하였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고, 결국 이 해 4월 러청철병협정(露淸撤兵協定)을 맺어 스스로의 약세를 드러내었다. 그러나 러시아는 제1차철병까지만 이행했을 뿐, 2차철병 약속을 위배, 도리어 봉천성(奉天省) 남부와 길림성(吉林省) 전역을 점령하였다.

    러시아가 동아시아정책을 밀고나간 것은 니콜라이 2세의 신임을 얻은 베조브라조프(Bezobrazov, A.M.)를 비롯한 강경파가 실권을 장악한 데서 비롯되었다.

    이들은 이처럼 만주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압록강 유역으로 군대를 이동시킨 뒤 압록강삼림채벌권 실행을 명목으로 용암포(龍巖浦)를 군사기지화함으로써 한국에 대해서까지 야욕을 노골화하였다.

    이러한 분위기는 계속되어 8월 위테(Witte, S.Y.)가 해임되고 여순에 극동총독부가 신설되는 등 이른바 신노선(New Course)에 의한 대일적극정책이 전개되었다.

    베조브라조프 일파의 이와 같은 모험주의노선이 전쟁을 촉발시켰다는 견해는 일본의 북진정책, 러시아의 남하정책에 그 책임을 돌리는 견해와 함께 러일전쟁의 원인에 대한 전통적 해석의 하나이다.

    그러나 러시아의 진출 방향을 아시아로 돌리려는 독일외교를 비롯한 국제 역학 관계와, 혁명이 우려되던 국내 위기를 밖의 문제로 희석시키려 했던 차르(tzar)의 계략이 전쟁의 원인으로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1903년 8월부터 개전에 이르기까지 양국은 여러 차례 만주와 한국 문제에 관하여 공식적인 교섭을 가졌다. 일본의 기본입장은 한국을 자국의 보호령으로 하는 대신, 만주에서 러시아의 우월권은 인정하되, 기회균등원칙이 지켜져야 한다는 것이었다.

    반면, 러시아는 자국의 만주독점권과 아울러 중립지대(한국의 39° 이북) 설정 및 한국령의 전략적 사용불가 입장을 고수하였다. 일본의 8월 제1차 협상안은 청·한 양국의 독립 보전과 상업상의 기회 균등, 한·만에 있어서의 러·일의 상호 이익보장 등을 골자로 하였다.

    이에 대해 러시아는 10월에 만주를 일본의 세력 범위에서 제외시키고, 한국에서의 일본의 군사활동 제한 및 39° 이북의 중립지대 설정을 주장하였다.

    고무라(小村壽太郞) 외상은 10월 1차 수정안에서 만한교환론(滿韓交換論)을 더욱 분명히 하여, 일본의 대한파병권(對韓派兵權)은 물론 한·만국경에 중립지대 설치를 요구하였다.

    12월 중순에야 제시된 러시아의 반대 제안은 청나라에 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이, 한국 북부의 중립지대 설정 및 한국 영토의 전략적 사용 불가 등 한국 문제에만 국한되어 있었다.

    12월 하순 일본의 2차 수정안과 1904년 1월 초 러시아의 회답도 다 같이 기존의 주장을 되풀이함으로써 양자의 타협 여지는 거의 없었다. 1904년 1월 일본의 어전회의에서는 개전론이 유력하였고, 최후 제안에 대한 러시아의 회답이 알려지기도 전인 2월 임시각의를 통해 개전이 결정되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러일전쟁


  • zudaish
    zudaish23.05.12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러시아와 일본의 충돌은 1899년 개항장 거류지 부지를 둘러싼 마산포 사건에서 잘 드러났다. 러시아의 남진과 이를 방어하려는 일본 사이의 대립은 이 무렵 항시 존재하고 있었다. 1904년 2월 일본군이 만주 여순과 인천의 러시아 군대를 공격하면서 러일 전쟁이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