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미국처럼 기술이 있고 노력만 있으면 얼마든지 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사례가 있다는 걸 보여 줄 수 있을까요
우리나라에는 신생 기업이 들어서서 대기업으로 성장하기까지는 미국보다는 상당히 고난의 길을 가야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만큼 텃세도 있고 신흥기업에 대한 특히 기술 기업에 대한 착취와 도용도 심하구요
이러한 틀을 깨고 우리나라도 새로운 법과 제도 아래에서 신생기업이 대기업으로까지 쭉쭉 커갈 수 있는
진정한 토대가 마련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재벌 중심 대기업이 지배구조나 순환출자 등으로 경제계를 장악하고 있어 노력만으로 사실 대기업이 되기 상당히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AI 등 산업의 전환에 따라 획기적인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이나 벤처기업등이 급성장하는 기회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과거에 비해 경쟁력이 있다면 성장하는 기업도 있습니다. 카카오 같이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은 기업도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도 얼마든지 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나라도 정말 경쟁력 있는
그러면서 남이 할 수 없는 기술이 있다면
아직도 대기업 될 수 있는 기회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처럼 한국에서는 신생 기업이 대기업으로 성장하기까지 고난이 많은 것이 현실이지만, 카카오, 네이버, 쿠팡, 토스와 같은 기업들은 초기 스타트업으로 시작해 기술력과 혁신으로 대기업 반열에 올랐고, 최근에는 딥엑스, 업스테이지와 같은 기술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새로운 성공 사례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의 협력이 증대되고, 정부가 창업 지원 및 규제 개선, IP 보호 노력을 지속한다면 신생기업이 착취와 텃세의 벽을 넘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진정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네이버나 카카오 같은 IT 플랫폼 기업들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들은 기존 재벌 그룹의 지원 없이 독자적인 기술력과 시장 혁신을 바탕으로 개인 기업에서 시작해 단기간에 국내 굴지의 대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특히 배달의 민족(우아한형제들), 아뇰자, 마켓컬리 등 최근 유니콘 기업들 역시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노력만으로도 성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도 미국처럼 신생기업이 탄생해서 대기업으로 충분히 발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젊은창업가들이 없어서 문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