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아이가 잠자기전에 이리저리 왔다갔다 이런저런말도 많이 하네요

아이가 9시를 기준으로 잠자는 시간이 되면 2시간동안이나 이리저리 왔다갔다 이런저런 말도 많이하네요

지금 3살인데요

요근래에 그러기 시작해서 좀 걱정이 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잠 자기 전에 특정 행동을 보여 걱정이 되겠습니다.

      최근에 어린이집과 같은 기관에 다니기 시작했다면,

      환경이 바뀌어서 적응하는 기간일 수도 있습니다.

      우선은 매일 일정한 시간이 되면 잘 준비를 하십시오.

      그런 다음 잠자리에 누운 후에 책을 한 권 읽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잠 잘 준비가 다 되었다면 집안에 있는 모든 전등을 소등하고 암막커튼 등을 이용해서 빛을 차단하는게 수면 유도에 효과적입니다.

      가능하면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폰과 같은 기기는 다른 곳에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처음에는 아이가 쉽게 자려고 하지 않겠지만 익숙해지면 일정한 시간에 잠을 자게 될 것입니다.

      아이의 수면 시간이 중요한 것은 밤10시~새벽2시 사이에 성장 호르몬이 왕성하게 분비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시간 이전에는 깊은 잠에 들어가야 키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만약 이 같은 행동이 지속된다면 전문가와 상담을 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낮에 신체 활동을 많이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고 밤에 빗소리 같은 음악을 틀어주며 암막 커튼을 치는 등의 수면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믿을 수 있는 대상, 특히 부모와 떨어져 있는 것을 두려워 합니다. 발달상 자연스러운 분리 불안 단계를 겪는 것입니다. 이 불안한 감정이 취침시간에 짜증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럴 땐 우선 아이에게 엄마(아빠)가 떠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려줘서 아이가 안심할 수 있게 합니다. 수면 훈련때문에 엄마(아빠)가 옆에 있지 않는 다면 아이에게 신체적으로 그곳에 있지 않을 때조차도 엄마(아빠)와 연결돼 있다고 느끼게 하는 특별한 담요나 애착 물건을 제공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참고하세요.

    • 아이가 잠들기 전에 이리저리 움직이고 이야기를 하는 것은 보통 정상적인 행동입니다. 이는 아이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것들을 처리하고, 마음의 안정을 찾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행동이 자주 나타나거나 심한 경우는 아이의 스트레스나 불안감을 나타낼 수 있으니 관찰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잠들기 전에는 미디어 사용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TV나 모바일 기기 사용 등이 아이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이가 일정한 수면 패턴을 가지도록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적절한 수면 환경을 제공하고, 잠들기 전에 조용하고 안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불안하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는, 이유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대처 방법을 찾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와 함께 대화하고, 그들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황을 설명하고 안정감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이가 즐겨하는 활동이나 취미를 찾아주고, 그들의 관심과 호기심을 이끌어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수면의식을 만들어보는것도 좋을듯합니다

      일정한 시간에 일정한 패턴으로 수면을 유도하는것이 좋으며

      밤에는 가능하면 동적인것보다 정적인 활동을 하면서 수면을 유도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화내거나 혼내기 보다는 단호한 어조로 자리를 지키도록 해주세요.

      잠자리에 들게되면 조명의 밝기도 항상 일정하게, 자장가도 같은 것으로 들려주는 등 잠자리 의식을 만들어

      꾸준히 반복하면서 바르게 잠드는 훈련을 시켜주세요.

    •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두가지 중 하나인듯하네요.

      아이가 성장하면서 잠자는 시간이 좀 늦어지거나

      부모랑 같이 있고 싶고 이야기 하고 싶어서 그러는 듯해요.

      9시 기준으로 재우고 싶으시면

      부모와 함께 에너지 소비할 수 있도록 많은 활동을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잠 들기 전 놀이가 마무리가 덜 되어서 그럴 수도 있고 잠투정일 수 있어요 조금 일찍 시간을 당겨서 재워보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점 점 자라면서 놀이에 흥미를 느끼기 때문에 잠 자는 것을 싫어한답니다.

      그래서 잠 자기 싫어서 쉬가 마렵다, 물이 먹고 싶다,책 읽어 달라 하는 등 계속 시간을 끈답니다.

      하지만 매일 같은 시간에 재우는 습관을 들이면, 신체의 리듬도 수면 패턴에 의해 움직이게 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