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파충류는 언제 등장했으며, 양서류와 비교하여 육상 생활에 더 유리했던 진화적 특징이 무엇인가요

지구 역사상에서 파충류라는 생물은 언제등장했는지 궁금하며 양서류와 비교했을때 육상 생활에 더 유리했던 진화적 특징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파충류는 약 3억 천만년전 석탄기의 후반에 등장했다고합니다.

    양서류와 달리 방수성의 피부와 계란처럼 단단한 껍질, 폐의 발달 등으로인해

    육상에서의 수분 손실을 최대한 줄이고 완전한 육상생활이 가능해져서

    양서류보다는 육지적응력이 높았다고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파충류는 3억1천만년전 쯤 석탄기에 등장했고, 양막 알, 각질화된 피부, 발달한 폐로인해 수분손실이 적어지고, 번식, 호흡에서 물 의존도가 크게 줄어서 육상생활에 유리했다고합니다. 그리고 사지와 골격구조가 체중지지에 최적화되어있어 장거리 이동과 건조환경 적응능력이 양서류보다 뛰어났다고합니다.

  • 지구 역사상 파충류는 약 3억 2천만 년 전, 고생대 석탄기 후기에 등장했습니다.

    이런 파충류는 양서류로부터 진화하며 육상 생활에 유리한 여러 특징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양서류와 비교했을 때, 파충류의 가장 큰 진화적 특징은 양막을 가진 알입니다. 이 알은 단단한 껍질과 내부 보호막 덕분에 건조한 육지에서도 배아가 안전하게 발달할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그 덕분에 파충류는 물에 의존하지 않고도 번식할 수 있게 된 것이죠.

    또한, 파충류는 건조하고 비늘로 덮인 피부로 몸속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는데, 이는 습한 환경이 필수였던 양서류와 큰 차이점이죠.

    마지막으로, 파충류는 폐호흡을 하며 물 밖에서도 산소를 얻을 수 있었고, 발달된 골격과 근육 덕분에 육지에서 이동하는데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이 파충류가 육상 생태계에서 자리 잡는데 큰 역할은 한 것이죠.

  • 안녕하세요.

    파충류는 지구 역사에서 약 3억 1천만 년 전, 석탄기(Carboniferous) 후반에 처음 등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이 시기는 광대한 석탄 습지가 존재하고, 대기 중 산소 농도가 높았으며, 곤충과 초기 육상 식물이 번성하던 시기였습니다. 당시 일부 양서류 계통에서 육상 생활에 더 적응한 그룹이 진화하여 초기 파충류(‘기저 파충류’라 불리는 암니오타)가 나타났습니다. 우선 파충류는 여러 가지 생리·해부학적 변화 덕분에 양서류보다 건조한 육상 환경에 훨씬 잘 적응할 수 있었는데요 파충류의 알은 양막(amniotic membrane)과 껍질로 보호되어 수분 손실이 적고, 알 속에는 양수같은 환경이 조성되어 배아가 물속과 유사한 조건에서 발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양서류는 껍질 없는 젤리 같은 알을 물이나 습한 환경에 낳아야 하지만, 파충류는 건조한 땅에서도 번식이 가능했습니다. 게다가 피부가 두껍고 케라틴층으로 덮여 있어 증발로 인한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며 양서류는 피부를 통해 호흡을 많이 하므로 항상 습기가 필요한 반면, 파충류는 주로 폐호흡을 하여 건조한 환경에서도 생존이 가능합니다. 또한 파충류는 표면적이 넓은 폐 구조를 가지며, 호흡 효율이 양서류보다 높고 이는 물속뿐 아니라 뜨겁고 건조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산소 공급이 가능하게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파충류는 약 3억 2천만 년 전 고생대 석탄기에 처음 출현했습니다. 양서류와 비교했을 때 파충류가 육상 생활에 더 유리했던 진화적 특징으로는 단단한 비늘로 덮인 피부와 양막을 가진 알이 있습니다. 단단한 피부는 몸속 수분 손실을 막아 건조한 환경에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양막을 가진 알은 물 밖에서도 번식이 가능하게 하여 육상에서의 생존 범위를 확장하는 데 기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