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과 바이러스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세균과 바이러스의 차이점이 궁굼하고 그리고 세균은 타인에게 감염및 전파가 되는지 않되는지 궁굼합니다.. 아시는분은 알려주세요
세균은 하나의 세포이지만 바이러스는 크기가 작은 DNA 또는 RNA가 단백질 외피에 둘러 쌓여 있는 모습입니다.
그리고 세균은 온도, 습도, 영양성분 등 환경이 적정 하다면 자체 증식 가능하지만 바이러스는 반드시 숙주가 있어야만 증식이 가능합니다.
또한 세균에 의한 발병은 일정 수 이상의 증식이 필요하며 증식 이후 발병이 되는데 비해 바이러스는 세균에 비해 미량으로도 발병이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세균은 항생제 등을 사용하여 치료 가능 하며 일부 균은 백신이 개발되어 있지만 바이러스는 변이로 인해 일반적인 치료법으로는 치료가 되지 않고 지속적인 치료를 요하거나 치료약물의 변경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세균과 바이러스의 가장 큰 차이는 바이러스는 숙주 없이 자가 복제 및 증식이 불가합니다. 세균도 타인에게 전염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세균의 경우 단세포로 이루어진 미생물이며 스스로 복제가 가능합니다.
바이러스의 경우 단백질 캡슐에 유전물질이 들어있는 구조이며 다른 세포에 기생해야만 복제가 가능합니다.
바이러스는 구조가 간단하며, 세균보다 크기가 매우 작습니다.
바이러스 중 박테리오 파지라는 계열은 세균에 감염하여 세균을 파괴하는 바이러스 입니다.
세균또한 타인에게 전염될 수 있습니다. 전염되는 대표적인 세균성 질병이 콜레라 입니다.
세균은 단세포 생물로 자체적인 세포벽, 세포막이 존재합니다. 세균은 스스로 성장하고 분열하여 번식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세포 구조를 갖지 않고 단지 유전물질을 단백질 코트로 둘러싼 구조입니다. 바이러스는 독립적으로 증식할 수 없으며 생존과 번식을 위해 호스트 세포를 감염시켜야 합니다. 세균성 질병은 항생제로 치료가 가능하고, 바이러스성 질병은 항바이러스제로 치료해야 합니다. 항바이러스제의 역할은 바이러스의 복제를 차단합니다.
1. 구조: 세균은 단세포 생물체로 세포막과 세포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에 바이러스는 세포 구조가 없는 단백질 코팅과 유전물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 증식 방식: 세균은 자체적으로 증식할 수 있는 생물체이지만, 바이러스는 호스트 세포 내에서만 증식할 수 있습니다.
3. 치료 방법: 세균 감염은 항생제와 같은 약물로 치료할 수 있지만, 바이러스 감염은 항바이러스 약물이나 예방접종을 통해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습니다.
4. 크기: 세균은 상대적으로 크고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훨씬 작습니다.
세균과 바이러스는 모두 미생물에 속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첫째, 세균은 단세포 생물로 자체적인 대사 작용을 할 수 있지만, 바이러스는 비세포 구조물로 스스로 대사할 수 없고 숙주 세포에 기생해야 합니다.
둘째, 세균은 DNA나 RNA를 가지고 있지만, 바이러스는 DNA 또는 RNA 중 하나만 가지고 있습니다.
셋째, 세균은 적절한 환경이 주어지면 독립적으로 증식할 수 있지만,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 내에서만 증식할 수 있습니다.
넷째, 대부분의 세균은 타인에게 전파되지 않지만, 일부 병원성 세균은 사람 간에 전파될 수 있습니다. 반면 바이러스는 숙주를 통해 타인에게 감염 및 전파될 수 있습니다.
세균과 바이러스는 둘 다 인간을 포함한 동물과 식물 등의 생명체에 유입하여 감염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병원체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 공통점입니다. 생명체는 크게 원핵생물과 진핵생물로 나뉘는데요, 원핵생물은 세포핵과 막성세포소기관이 없는 원핵세포로 이루어진 생명체를 말하며, 세균(박테리아)는 원핵생물에 속합니다. 또한 세균은 이분법 등의 무성생식을 통해 스스로 독립적인 증식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에 바이러스는 세포로 이루어져있지 않으며, 스스로 독립적인 증식이 불가능하고, 반드시 숙주세포 내에서만 증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명체로 구분되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