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하니하니1
하니하니1

MBTI를 말할때 어떤사람은 ESTJ 라고 알파벳 4자리를 말하고

1.MBTI를 말할때 어떤사람은 ESTJ 라고 알파벳 4자리를 말하고 어떤사람은 그냥 T라고 알파벳 한자리를 말하는데 차이가 뭔가요?

2.그리고 대문자 I 라고 하면서 대문자를 강조하던데

대문자 아이와 소문자 아이는 다른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더없이호감이넘치는소금
    더없이호감이넘치는소금

    안녕하세요. MBTI는 성격유형검사를 뜻하고, 내향성 I와 외향성 E, 현실주의적 S와 이상주의적 N, 사고형 T와 감정적 F, 즉흥적 P와 계회적 J 이렇게 나뉩니다. 특히 T와 F가 여러 SNS와 인터넷에 거론될만큼 유명합니다. 예를 들어 T는 지인이 어떤 문제때문에 힘들어할 때 공감을 하기 보단 해결책을 제시해 빠르게 해결하는 것을 중요시하고, F는 위로하고 공감하며 기분을 먼저 풀어준 후 해결방안을 T보단 뒤로 미루는 경향이 있습니다. 추가로, 소문자는 (예를들어) 내가 극단적으로 집순이는 아니지만 집에 있는걸 선호하는 편이다 할때 소문자 i라고 말하게 되는 것이죠.

  • MBTI 4자리는 전체 성격 유형이고 T는 그 중 한 축인 논리와 감정 등 특정 선호를 뜻합니다.

    사호아에 따라 T냐 F냐를 가장 크게 보는 경향들이 있어서 한 글자만 언급하기도 합니다.

    대문자 I라고 하는 표현은 내형형 성격이 강하다는 정도를 강조하는 표현이구요.

  • mbti는 내향성과 외향성을 구분하는 I와 E, 감각과 직관을 나타내는 S와 N, 사고와 감정을 나타내는 T와 F, 판단과 인식을 나타내는 J와 P가 있습니다. 모두 영어 첫글자를 딴 거에요

  • 성격을 판단할때 MBTI는 간단한 판단 기준이 되는데요. 그 중에서 T라고 대표해서 알려주는 것은 나는 감정적인 사람이라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죠. 그리고 대문자 I를 표현하는 것은 보통 일반적인 내향인이 아니라 많이 내향적이 다라는 것을 강조하는 거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근데 요즘 T나 F처럼 한 글자만 말하는 경우는, 네 가지 특징 중에 '사고(T)냐 감정(F)이냐'만 따로 이야기하는 거예요. 그리고 MBTI는 원래 다 대문자로 써요. 대문자 I를 강조한 건 아마 그분이 자신의 내향적인 성향이 엄청 강하다고 생각해서 그렇게 말했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