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성발톱은 어떤 경우에 생기게 되는건가요?
내성발톱은 한번도 걸려본 적이 없어서 다른 친구들이 내성발톱때문에 고생하는 것만 봐가지고 얼마나 아픈지는 모르겠는데 혹시 어떤 경우에 생기는건지 알고 싶어서 물어봅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발톱이 살을 파고들면서 고통과 염증을 유발하는 내성발톱은 엄지발가락에 주로 생기며 초기에는 가벼운 통증으로 시작하지만,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아 악화할 경우 발톱 주변의 피부가 곪고 진물이 나면서 일상생활을 어렵게 만듭니다.
내성발톱은 발톱이 발톱 바깥쪽의 살을 지속적으로 누르게 되는 모든 상황들이 유발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손톱깎기로 발톱 바깥쪽을 깊이 깎을 경우 자칫 살 속에 숨은 잘리지 않은 발톱 파편이 살 속을 파고 들 수 있으며, 발톱 무좀을 오래 방치해서 발톱의 모양이 변형된 경우, 꽉 조이는 신발을 장시간 신었을 때, 발가락 뼈가 튀어나온 경우 내부 압력의 증가로 인하여 잘 발생하고, 비만이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발톱이 자연적으로 굴곡이 심해지는 경우 등에서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내성발톱은 발톱이 피부 안으로 자라나면서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상태예요. 주로 발톱을 너무 짧게 깎거나 잘못 깎을 때, 꽉 끼는 신발을 오래 신을 때, 또는 발톱에 외상이 가해질 때 발생해요. 발톱의 모양과 두께, 그리고 유전적인 요인도 내성발톱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 내성발톱이 생기면 걸을 때 통증을 느낄 수 있는데, 특히 염증이 심해지면 발가락이 붓고 화끈거리거나 욱신거리는 증상이 있을 수 있어요. 내성발톱을 예방하려면 발톱을 곧게 깎고 너무 꽉 끼는 신발은 피하는 것이 중요해요. 만약 통증이나 염증이 지속된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받는 것이 좋아요. 발 건강에 유의하여 이러한 불편을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면 좋겠어요.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내성발톱은 주로 발톱이 피부를 파고들어 가면서 발생하는 상태로, 주로 무리한 압력이나 부적절한 발톱 관리로 인해 생깁니다. 신발이 너무 꽉 끼면 발톱이 피부를 손상시켜 내성발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발톱을 너무 짧게 깎는 것도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발톱의 모서리를 너무 둥글게 깎으면 발톱이 자라면서 피부를 파고들 가능성이 높아지죠. 또한, 유전적인 요인이나 반복적인 외상, 혹은 비만 등도 내성발톱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내성발톱이 생기면 염증과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내성발톱은 발톱의 모서리가 피부에 박혀 자라면서 발생하는 상태로, 주로 발톱이 너무 짧게 깎이거나 발에 맞지 않는 신발을 자주 신을 때 생깁니다. 이렇게 발톱이 피부를 찔러서 자라면 염증과 통증을 일으킬 수 있죠. 내성발톱이 발생하면 발톱 주변에 붓고, 빨갛게 염증이 생기며, 심하면 고름이 차기도 합니다. 또한, 발톱이 물리적으로 자극을 받으면서 통증이 심해질 수 있구요.
신발이나 발톱 관리가 잘 되지 않으면 내성발톱이 더 심해지기도 하므로, 발톱을 깔끔하고 적당한 길이로 유지하고, 신발을 편안하게 신는 것이 예방에 중요합니다
내성발톱은 발톱에 발생하는 물리적, 화학적인 자극 및 충격과 같은 원인들에 의해서 발톱이 손상을 받게 되고 그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자라나고 살 안으로 파고들어 가게 되면서 그로 인해서 통증과 염증 같은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내성발톱과 관련하여서 발톱이 자라날 때마다 깎아주면서 관리를 해주는 방법이 있긴 하지만 안타깝게도 내성발톱은 그러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쉽게 근본적으로 치료를 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내성발톱을 확실하게 치료하길 위해서는 정형외과에서 국소 마취를 하고 간단한 수술적 치료를 하여서 치료하여야 합니다. 그렇지만 그렇게 하였음에도 골치 아프게 재발이 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