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눗방울에 무지개는 왜 생기는걸까요
비눗방울을 가지고 많이 놀아주곤 하는데요 동그란 비눗방울이 날라가면 꼭 무지개 빛깔이 생기곤 하더라구요 물을 뿌릴때라던가 무지개빛이 생기는 원리가 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이 흰색이잖아요 근데 그것은 모든 색의 빛이 합쳐져서 하얀색입니다.
그런데 빛이 분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것은 렌즈같은것을 통과 했을 경우에 생기는 분산입니다,
흰빛의 색은 우리가 물감으로 만들 수 있는 모든 색의 합인데요,,
비눗방울이 바로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해서 빛이 분산되면서 생기는 현상이 무지개모양으로 보이는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눗방울이 무지개 빛깔이 생기는 원리는 광학 현상 중 하나인 굴절의 원리에 기인합니다. 비눗방울 안의 물방울들은 비눗물 안에서 서로 밀어내며 구성된 구형 모양을 유지하게 됩니다. 이 구형 모양의 물방울은 모서리에서 빛을 굴절시키면서 빛의 스펙트럼을 형성합니다.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가 생기는 원리는 바로 빛 굴절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무지개는 비가 온 뒤, 계곡, 바닷가에 생기기 마련인데 수중기에 있는 물방울이 빛을 굴절시킵니다. 색깔마다 굴절각이 달라 우리 눈에는 여러가지 색으로 달라 보입니다. 비눗방울도 마찬가지 입니다. 비눗방울이 빛을 굴절시켜 우리 눈에 무지개가 생기게 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