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코인할때 내가 들어가면 떨어진다는 말은 진짜인가요?
주식, 코인할때 사람들이 꼭 하는 말이 있잖아요
내가 들어가면 떨어지고 내가 팔면 올라간다는 말.
많은 사람들이 이런 말을 하던데 실제로 심리적으로 착각인가요 정말인가요?
너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당연히 착각이죠. 인간은 특정 상황만을 더욱 기억에 남기는 바넘효과(콜드리딩) 때문에 나한테만 특정한 상황이 발생한다고 여기는데요. 특히나 안좋은 상황에서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자신이 투자해서 상승할때도 많지만 기억을 못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그렇지는 않지만 대부분 참다참다 포모를 못견디고 들어가면 하락하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당연하게도 이러한 상황에서는 급등할 때 참지 못하고 손이 나가고 급등후에는 급락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패착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올라가는 경우도 있고 떨어지는 경우도 있겠지요.
아무래도 개인(개미)들은 급등하는 종목을 많이 따라 사기 때문에 확률적으로 사고 나서 떨어질때가 더 많기는 한것 같습니다.
사람들은 손실에 더 민감하고 손실 경험만 강하게 기억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 개인 투자잗르은 상승한 후 뒤늦게 매수하거나, 긴 하락에 공포로 손절하는 경우가 많아 불리한 타이밍에 거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내가 사면 떨어지고, 내가 팔면 오른다는 느낌을 가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심리적인 착각: 손실이 더 기억이 오래 남아 내가 사면 떨어지더라라는 확증 편향이 생기기 쉽습니다.
초보 투자자는 뉴스, 소문에 따라 뒤늦게 진입하는 경우가 많아 이미 가격이 많이 오른 뒤 매수하여 하락을 맞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 코인 내가 하면 떨어진다는 말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이런 말들이 나오는 것은 대부분
매수, 매도 타이밍을 잘 잡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기계적으로 분할매수, 분할매도를 하면
이런 문제를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이나 코인 투자 시 내가 사면 떨어지고 내가 팔면 오른다는 말은 대부분의 경우 심리적인 착각과 편향에 가깝습니다.
주식이나 코인시장은 전 세계 수많은 개인 투자자와 엄청난 자본을 가진 기관 투자자들이 실시간으로 사고파는 거대한 곳입니다. 한명의 개인 투자자가 산다 또는 판다는 행위는 이 거대한 시장의 가격을 움직일만큼의 영향력이 거의 없습니다. 내 거래는 바다에 물 한방울 떨어뜨리는 것과 비슷합니다.
내가 사고 나서 가격이 떨어졌다면 그것은 내가 샀기때문이 아니라 나 외에 다른 거대한 매도세가 더 강했기 때문입니다. 내가 팔고 나서 올랐다면 나외의 다른 거대한 매수세가 더 강했기때문이고요.
주식이나 코인 가겨은 수많은 요인에 의해 실시간으로 변합니다. 완벽한 지점에 사서 완벽한 고점에 파는 것은 신의 영역이라고 불릴만큼 어렵습니다.
내가 샀을때가 이미 고점이었을수도 있고, 내가 팔았을때가 일시적인 저점이었을수도 있습니다. 이는 내 매매 행위 자체가 가격을 움직였다기보다는 내가 시장의 타이밍을 잘못 잡았을 가능성이 더큽니다.
내가 사면 떨어지고 내가 팔면 오른다는 말은 심리적인 착시 현상이 만들어낸 속설에 가깝습니다. 투자 시장에서 개인의 매매는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상황에 따라 본인의 합리화를 하는 말입니다,.
만약 투자를 하는 경우 본인이 샀는데 올라가는경우 이 이론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확증 편향으로 본인의 생각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만 확신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투자에서 성공한 사례는 무시하고 실패한 경우만 생각하기 때문이죠.
주식이나 코인의 글로벌 경기 상황이나 시장흐름에 따라 변화됩니다.
내가 사면 떨어진다는 것은 오로지 착각에서 빚어진 말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심리적으로 오르는 것보다
떨어지는 것을 더 기억하고
심리적으로 떨어지는 것을 더 두려워하기에
이러한 감정을 느끼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이나 코인을 내가 사면 꼭 떨어진다는 말은 많은 투자자들이 공감하는 심리적 착각입니다. 실제로 매수 직후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우연에 가깝고 투자 타이밍을 완벽히 예측하는 것이 원래 어렵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손실 경험을 더 크게 기억에 남아 이러한 착각에 빠질 수 있으니, 꾸준히 시장을 관찰하고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장기적 투자 태도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