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70세이상 연령의 자산이 약 2000조원이라는데 사실인가요?
일본이 고령화로 인해 투자되지 못하는돈이 많다고 합니다. 약 70세이상 기준 2000조원이라는데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투자가 된다면 엄청난 효과가 있을 듯 한데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의 고령층의 자산이 약 2000조엔 우리돈으로 2경 정도가 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것은 매년 상승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산은 고령층에 많은데, 그렇게 고령층에 많은 자산이 모여있는 이유는 고령층은 퇴직전까지 많은 돈을 모았고 이러한 돈을 연금이나 각종 투자처에 넣어 조금식 수익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자금이 투자가 된다면 큰 효과가 있겠지만, 나이를 봤을때 안전자산에 투자를 할 가능성이 보다 높다고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일본은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대표적인 국가인데, 일본인 약 70세 이상 연령의 자산이 250조엔을 넘어서서 우리나라 돈으로 약 2500조원 가까이 된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일본의 70세 이상의 연령대의 자산이 약 2,000조원이라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일반적으로 2021년 기준만 하더라도 일본 전체 금융자산의 57.3퍼센트가
65세 이상 고령자들에게 있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일본 고령층이 자산 규모에 대한 이야기는 사실에 가깝습니다. 여러 보고서에서 일본 고령층, 특히 60대 이상이 일본 전체 가계 금융자산의 상당 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규모가 매우 크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막대한 자산이 고령층에 집중되어 있지만, 말씀하신 대로 이 돈이 효율적으로 투자되지 못하고 '묶여' 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본의 고령층은 장기간의 디플레이션 경험과 경기 침체를 겪으면서 현금이나 예금을 선호하는 경향이 매우 강합니다. 금리가 의 0%에 가까워도 은행에 돈을 묶어두는 경우가 많으며, 주식이나 채권 등 투자자산의 비중은 매우 낮은 편입니다. 위에서 언급된 '치매 머니'가 대표적인 문제입니다. 치매 등으로 인해 본인의 자산 관리가 어려워지면 법적인 절차 없이는 자산을 인출하거나 투자할 수 없게 되어 돈이 사실상 동결됩니다. 이로 인해 유동성이 저해되고 경제 활성화에 걸림돌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의 고령층은 과거 80년대이전 고속성장시기에 활동하시던 인구들이며 이들이 축적된 자산이 매우 많습니다. 그래서 이들 고령층 즉 65세이상 인구들이 자산합계는 600조~1000조이상엔으로 각각 연구소마다 다르게 추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들은 금융자산으로 말씀하신것처럼 원화로 몇천조에달하는 금액을 보유한것으로 알려져있으며 문제는 해당 고령층이 위험자산보다는 현금이나 단기성 무위험 자산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실질적으로 이들의 자금 일부가 위험자산으로 유입된다면 다시금 큰 자산시장 랠리가 이어질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