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자동차새로바꾸기
자동차새로바꾸기

현대차가 관세에도 선방한 이유가 뭘까요?

현대차와 도요타는 미국의 자동차 관세에도 실적이 유럽차에 비해서 선방했다는 뉴스를 접했는데요. 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현대차가 미국 내에서는 공격적인 가격정책을 앞세워 미국내에서도 어느정도 선방을 했고, 인도 수출 증가 등 자동차 판매에 선전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전기차와 중고차의 수출 증가가 요인인 것으로 보입니다.

    https://www.yna.co.kr/amp/view/PYH20250701097700061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자동차 업계 전체가 관세나 공급망 이슈로 흔들리는 와중에 현대차와 도요타가 유럽차 브랜드보다 타격이 적었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 배경에는 몇 가지 구조적인 대응이 있습니다. 먼저, 미국 내 현지 생산 비중이 높습니다. 관세 부과 대상이 되는 수입 물량 자체가 줄어들다 보니 영향을 덜 받은 겁니다. 또한 주요 수출 시장 다변화를 미리 진행해 온 점도 크고, IRA 법안 같은 환경 규제 대응 면에서도 배터리 관련 원산지 기준을 맞추려는 사전 준비가 있었습니다.

    수치상으로 보면 실제 관세율은 같아도, 전체 수출량 대비 관세 영향을 받는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실적이 더 안정적으로 유지됐다고 해석됩니다. 제조 기반과 물류 전략 모두 선제적으로 조정한 게 주요한 이유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관세에 현대차는 버텨내 2분기 영업이익은 6.7조로 전망되며 선방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현대/기아차는 모두 매출액은 증가하였지만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낮아질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현재 현대차와 기아차 모두 현지 재고 물량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으며, 현지 생산 확대 등으로 관세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최대 시인 미국에서 올해 상반기 89만대를 판매하여 역대 최고 판매량을 기록하였습니다.

    향후 가격 인상 등이 예측되고 있는 가운데 올해 하반기 실적이 중요해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완성차의 경우 현지 생산이 많을수록 완성차에 부과되는 수입 관세(25%)를 피할 수 있어 가격 안정에 유리하고 도요타는 인디애나·켄터키·미시시피·텍사스 등 다양한 공장을 운영하며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미국 내에서 조달하고 있으며 현대차 역시 앨라배마와 조지아 등 주요 생산 시설을 확대 또한 알라배마 공장에서 투싼을 현지 생산하도록 이전하고 1.2백만 대 규모의 미국 생산 역량을 갖추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