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ct 검사시 알수 있는것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3년 12월에 복통으로 조영제 복부ct를 찍었고
에스결장 대장게실염으로 판독되어 입원치료 했습니다.
24년 7월 가슴쪽 찌리는 통증이 있어 같은병원에서
비조영제 복부ct를 찍었으나 별이상없고 가슴쪽 초음파상
별문제없이 늑골염 이런걸로 진단되어 약먹고 좋아졌습니다.
질문드립니다.
1.
23년에 대장게실염이 오진으로 대장암은 아닐까 걱정이 됐는데
24년에 비조영제로 찍고 대장쪽은 언급이 없었는데
별 문제가 대장암이나 대장게실염인지 여부를 다시보였을까요?
2.
23년도와 24년도 동일하게 판독지에
우측신장 출혈성낭종 1.2cm
우측폐 5mm결정 양성
간에 석회화
동일하게 나왔는데 조영제와 비조영제ct가 동일하게 확인이 가능한가요? 아님 같은곳에 찍어서 그냥 써놓은걸까요?
3.
비조영제에서 정확도는 달라도
위 간 대장 췌장 등등 장기에 종양 덩이가 확인되나요?
4.
비조영제에서도 간에 지방간이나 간경화가 확인되나요?
궁금한게 많습니다.
담변요청드려요.
안녕하세요. 송재민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올려주신 내용 잘 확인 하였습니다.
걱정이 많이 되시겠습니다. 대장암은 크기가 크지 않는 이상 CT로 판별하기는 어려우며 해당 부분에 대해서는 내시경검사가 더 정확할 수 있겠습니다. 게실염은 CT 찍으시는게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1. "별 문제가 대장암이나 대장게실염인지 여부를 다시보였을까요?" 질문의 뜻을 이해하기가 어렵지만
복부CT의 경우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으면 장기구분 병변구분을 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비조영복부CT를 보고 대장게실염 대장암등을 확인하지는 못합니다.
우측폐 결절, 간 석회화의 경우는 비조영CT에서 보일 수 있습니다. 신장낭종의 경우도 조영증강 CT만틈 잘 보이지는 않지만 확인이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비조영CT에서 장관내 종괴를 확인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잘 되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비조영CT에서 지방간, 간경화등은 일부 단서를 얻을 수 있지만 한계가 명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