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동학과 혈중약물농도가 같은것인가요
이그래프가 맞는건가요 발펴를 해야하는데
약동학과 혈중약물농도가 같은것인지 잘모르겠습니다. 혈중약물농도를 적분하면 체내 약물 흡수량이 되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이 그래프는 혈중약물농도에 대한 시간-농도 곡선을 나타내는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약동학(Pharmacokinetics)의 주요 개념 중 하나입니다. 그래프에서 세로 축은 '혈중약물농도'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냅니다. 이 그래프의 곡선 아래 영역(Area Under the Curve ; AUC)은 약물의 체내 노출을 양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AUC는 약물이 체내에 얼마나 오래 머무르며 얼마나 많은 양이 있는지를 나타내며, 약물의 흡수량과는 직접적으로 관련되지는 않습니다.
AUC는 약물의 "체내 노출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AUC를 통해 약물의 생체이용률(bioavailability)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생체이용률은 약물이 얼마나 완전하고 빠르게 흡수되어 체내에서 활성 형태로 작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그러나 AUC 자체가 흡수된 정확한 약물 양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이는 흡수율과 약물의 제거율에 영향을 받습니다.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약동학(pharmacokinetics, PK)이란 용어는 그리스어로 약을 의미하는 pharmacon과 움직임이라는 kineticos를 합하여 만든 것인데요, 약동학을 아주 좁은 의미로 표현한다면 혈액 또는 혈장의 약물농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설명하는 모델을 찾는 것입니다. 약동학은 약의 용량과 체내 약물 농도 관계를 설명는데 이때 약물의 농도는 현실적인 이유로 많은 경우 혈중 약물 농도를 대상으로 합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아는 내에서 말씀드립니다. 참고자료를 가지고 계신다면 재검토 하시기 바랍니다.
위 그래프에서 혈중약물농도는 Y축, X축은 시간이라,
시간이 흐르면서 혈중 약물 농도가 감소하는 그래프인데,
투여구간이 없으므로 흡수(Absorption)과정이 없다는 의미이고 혈관으로 직접 투입한 약물 그래프로 보입니다.
해당 그래프는 시간당 혈중 약물 소실양을 알수있는 그래프입니다.
약동학은 투여한 약물이 체내에서 흡수, 분포, 대사, 배설되는 과정을 수학적으로 나타내는 학문이라
위 그래프자체와 그래프의 곡선을 나타내는 수식을 약동학 그래프, 약동학 수식이라고 할 수 있고
위 그래프에 해당하는 수식을 변수t(time,시간)에 대해 적분하면 그래프 하단의 넓이가 되며 이것이 AUC입니다.
AUC값을 사용해서 약물에 체내에서 소실되는 속도(Clearance)나 생체이용율을 구할 수 있습니다.
Clearance=투여량/AUC 로 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