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환장에서 복합제 처방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최근 고혈압 환자에게 단일 약물보다 복합제 처방이 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복합제의 장단점과 환자 순응도 측면에서 어떤 의학적 판단이 작용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복합제의 장점은 여러 성분이 합쳐져 있기 때문에 복용하는 약의 갯수를 줄일 수 있고 이는 환자의 복약 순응도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단점은 개별적 성분의 용량 조절이 필요한 경우 어렵기 때문에 약을 변경해야 할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따라서 기존 약으로도 조절이 잘 되는 경우나 환자가 선호하는 경우 등은 반드시 복합제를 우선적으로 사용하지만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
고혈압약을 복합제로 사용하는 것은 여러가지 장점이 있지만 복용하는 약의 갯수가 줄어들면 복약 순응도가 향상이 되게 됩니다. 순응도는 약을 얼마나 규칙적으로 잘 복용하는지를 의미하는 것인데 여러가지 약제를 복용하는 것보다 약의 갯수가 줄어들면 이러한 순응도가 좋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같은 약의 용량을 증량하는 것보다 다른 약을 추가하는 것이 혈압 조절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으며 용량 증가에 의한 약의 이상 반응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복합제는 약을 2알 처방할 것을 1알로 만든 것입니다.
따라서 장점은 약을 갯수를 줄일 수 있다는 것
단점은 용량조절이 어렵다는 것
이렇게 이야기할 수 있겠네요
복합제의 장점은 다른 기전의 약물들을 동시에 사용함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 단독 약물 사용보다 각 약물에 대해서 저용량으로 사용, 약물 개수가 적어지는 만큼 환자의 순응도 향상 등이 있습니다. 부작용이 발생하였을 경우 어떠한 성분에 의한 것인지 애매한 부분과 경우에 따라서 단일제 보다 비쌀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환자의 순응도 측면에서는 알약을 여러개 동시에 먹어야 하는 번거로움에서 한 알 복용으로 간편하게 조절이 가능한 부분에서 매우 긍정적인 부분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
알약의 개수가 줄어드는 것이고 약효 자체에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다만 약제가 많아질 경우 환자가 까먹는 경우도 있고, 거부감도 들 수 있기 때문에 복합제 처방을 할 수 있으면 가급적 복합제를 처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