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오늘도 행복하세요
오늘도 행복하세요24.01.03

과거에 미국이 금을 달러로 바꿔줬다는게 맞나요?

과거에는 미국에서 달러를 가져오면 금을 달러로 바꿔줬다는게 사실인가요? 왜 그런 행동들을 했죠? 지금도 달러를 금으로 바꿔주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과거 미국은 세계2차전쟁을 통해서 얻게 된 막대한 부를 바탕으로 전 세계 금의 75%이상을 소유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서 '금본위제도'를 시행하였어요. 이 금본위제도를 통해서 미국은 자국의 화폐인 달러를 가져오게 되는 경우 이에 상응하는 금을 교환해주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과거에는 금의 일정량과 달러의 일정량 등을

    교환해주었으나 미국의 닉슨대통령이 닉슨독트린 등을

    선언하는 등 이에 따라서 금본위제가 해체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달러화를 주면 미국은 금으로 교환을 해주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것이 브레턴우즈 체제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복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달러에는 예전에는 있었지만 지금은 사라진 문구가 있습니다. 지폐 하단에 'TEN DOLLARS IN GOLD COIN'이라는 문구가 있었습니다. 달러는 원래 금으로 교환이 가능한 일종의 '금 교환권'이었습니다. 1971년 이전까지는 미국 달러를 은행에 가지고 가면 실제로 금과의 교환이 가능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아닙니다.

    사실 달러만이 아니라 예전에는 많은 국가들에게 있어서 자국의 화폐를 발행할 때 금을 비축한 양만큼만 발행하던 금본위제가 시행되었습니다. 화폐의 가치를 떨어뜨리지 않기 위한 조치였고, 화폐를 마구 찍어내지 못하도록 하는 장치였습니다. 그러나 1차세계대전을 계기로 전쟁을 수행하면서 막대한 돈이 필요하게 되자, 이 제도를 더 이상 유지하지 못하게 되었고 지금에 이르게 된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기 바라며,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초의 지폐는 금의 교환권 같은 개념입니다. 금이 돈이었는데, 들고다니기도 힘들고 해서 보관소에 맡기고 맡긴 증서를 종이로 받았는데, 이걸로 거래를 했습니다. 그래서 물건을 주고 이 교환권을 받은 사람이 보관소에 가면 금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금본위제때는 이게 당연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금본위제가 폐지된 상태입니다. 지금은 지폐는 국가의 신용만을 바탕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달러를 금으로 바꿔주지는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달러의 금본위제도는 1944년 브레튼우즈 체제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브레튼우즈 체제는 미국 달러를 기축통화로 하여 각국 통화의 가치를 달러로 환산하는 제도였습니다. 브레튼우즈 체제에서 달러는 금으로 교환할 수 있었습니다. 1971년 미국은 달러의 금본위제를 폐지했습니다. 1971년 미국은 베트남 전쟁으로 인해 재정난을 겪었고, 달러의 가치가 하락했습니다. 미국은 달러의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금을 매각했지만, 금의 매각으로 인해 달러의 가치는 더욱 하락했습니다. 결국 미국은 달러의 금본위제를 폐지했습니다. 즉 지금은 하지않습니다. 이것을 시행한 이유는 금본위제는 화폐의 가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화폐의 가치를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20세기 초까지 금과 통화를 연결하는 골드 스탠다드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었습니다. 이 시스템에서는 미국 정부가 달러와 골드를 고정 환율로 교환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는 달러를 지지하는 금의 가치를 보장하기 위한 시스템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에 언급하신 내용이 소위 말하는 금환본위제도였습니다.

    달러 (지폐) 에 대한 보증을 금으로 해준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지폐에 대한 신용을 갖기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1944년도 브렌트우드 체제에서 금의 자리를 달러가 대신하도록 합의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