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초록산
초록산

취업률과 고용률을 구하는 방법이 다른가요?

단어만 보면 둘이 같은 의미로 보이는데요. 고용률은 경제활동가능인구가 분모에 오고 분자에 취업자 수가 온다고 알고 있는데요. 취업률은 분모에 실업자와 취업자 수를 합친 값이 오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취업률은 취업자와 실업자인 경제활동인구를 대상으로만 도출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애초에 구직이 되지 않아 구직을 포기하거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취업률이 오히려 오르게 됩니다. 실업자가 줄어들어 취업자+실업자의 분모 값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고용률은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뿐만 아니라 비경제활동인구도 포함한 생산가능인구를 분모로 쓰기 때문에 구직에 실패하거나 아예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도 분모에 잡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고용률은 경제활동가능인구에 대한 취업자 수 비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이에반해 취업률은 전체 인구에 취업자 수 비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이것은 취업률을 구할 때 실업자와 취업자의 합이 분모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주의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두 가지 단어는 비슷하지만 다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공식으로 보여드리면

    취업률 : 취업자수/경제활동인구 * 100

    고용률 : 취업자수/총인구 * 100

    취업률의 개념은 잘 알고계시지만 고용률은 잘 모르시는 것 같아 설명드리면 고용률은 분모에 총인구가 옵니다.

  • 취업률과 고용률은 계산 방법과 의미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고용률은 경제활동이 가능한 전체 인구 중에서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냅니다.

    반면에, 취업률은 경제활동인구, 즉 취업자와 실업자를 합한 인구 중에서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고용률은 경제활동 가능 연령 전체를 기준으로 하고, 취업률은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만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