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힘찬직박구리6
힘찬직박구리6

제가 조현형 성격장애를 진단받았습니다.

제가 군대에서 복무하기 전에 재검을 받기 위해 정신과에서 심리검사를 했는데 조현형 성격장애로 진단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하기는 했는데 이 조현형 성격장애는 어떤 성격장애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서동설 심리상담사입니다. 

    자신은 신적인 존재로 타인을 조정할 수 있다는 망상, 자신이 외계인이라 특별한 능력이 있다고 생각하는 등 기괴한 생각을 지속적으로 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김점숙 심리상담사입니다.

    조현병(정신분열병)은 10대 후반에서 20대의 나이에 시작하여 만성적 경과를 보이는 정신적으로 혼란된 상태, 현실과 현실이 아닌 것을 구별하는 능력의 약화를 유발하는 뇌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100명 중 1명이 걸리는 흔한 질환입니다. 모든 계층의 사람이 걸릴 수 있습니다. 남녀의 발병 빈도는 비슷합니다.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최근 학계에서는 뇌의 기질적 이상을 그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김성훈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조현병은 비정상적인 사고와 현실에 대한 인지 능력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의 일종입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입니다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PD). 조현 (성격 또는 인격)장애. 심하지 않은 조현병의 증상이 성격처럼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조현형 성격장애라고 부른다. 다른 사람이 보기에는 조현병만큼 이상하지는 않지만 어쨌거나 정신질환으로 보이는 것은 마찬가지다. 마술적인 사고, 환각과 기이한 신념 등 조현병 증세는 다 갖고 있다. 망상이 지나쳐 본인을 신 등의 특별한 존재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조현병과 연관이 깊은 성격장애로 조현병의 병전 성격으로 임상적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조현병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환자들은 친밀한 관계를 매우 불편해하며 관계 형성 능력이 부족한 것이 특징이다. 인지와 지각의 왜곡이 나타나며, 기이한 행동을 생활 전반에서 보인다. 과거에는 분열형 성격장애로 불렸으나, 정신분열증에서 조현병으로 명칭이 개정된 것과 마찬가지로, 조현형 성격장애로 명칭이 개정되었다. 이것은 분열성 성격장애로 불렸다가 명칭이 개정된 조현성 성격장애도 마찬가지다. 이 역시 조현성 성격장애처럼 아스퍼거 증후군으로 오진되는 비율도 만만치 않다고 한다. (아예 '후천적 자폐증'이라고 설명되기도 한다.) 여담으로 경계선 성격장애가 '신경증과 정신증의 경계선상에 있는 정신상태를 일컫는 말'이었을 시절에는 조현형 성격장애 역시 경계선 성격장애로 진단되었다고 한다.

    출처 - 나무위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입니다.

    조현형 성격장애의 경우 사회적인 관계나 대인관계에 있어서 표현이나 감정적인 대처가 부족한 부분이 나타날수있습니다.

    이러한 성격장애는 특별한 원인이 규정된 것은 아닙니다.

    수동적이고 피상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경우가많으며 스스로를 고립시키나 이러한 것에 대해서 불편함이나 무언가 필요함을 느끼지 못합니다

    그렇기에 친구나 지인등에 대해서 관심이 부족할수있고 자신만의 공간에 몰두하는 경향이 있으니 참고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