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원자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에 선도 기업도 궁금합니다
탄소 중립 관한 책을 읽다가 소형원자를 보게됐어요
이론상으로는 이해를 했고
미국에 뉴스케일파워 가 제일 앞서있는거 같은데
어느정도인가요?
우리나라에선 두산중공업이 하는거 같던데
어느정도까지왔고 언제쯤 상용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소형원자란 원자로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원자로보다 더 작은 규모의 원자로를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모듈형 원자로(MMR)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표적으로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한국전력이 소형원자로 분야에서 선도 기업으로 꼽힙니다. 한수원은 MMR인 SMART(스마트) 원자로를 개발하여 상용화를 준비 중에 있으며, 한국전력은 MMR인 K-MINI를 개발 중에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른 기업들도 소형원자로 분야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소형원자란 원자로의 한 종류로, 일반적인 원자로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더 적은 양의 연료를 사용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소형원자는 저전력 지역이나 원격 지역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나, 산업용 열에너지 공급 등에 이용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소형원자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현재 KAERI(한국원자력연구원)와 KINGS(Korea Innovative Nuclear Energy Systems) 등에서 소형원자 개발을 위한 연구 및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선도 기업으로는 한화, 롯데 등이 소형원자 개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기업 중에서는 GE, 미쉐바, 웨스팅하우스 등이 소형원자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미 일부 국가에서는 소형원자를 상용화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소형원자로는 작은 규모의 원자로로, 주로 발전소나 핵실험 등 대규모의 원자로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활용됩니다. 소형원자로는 특히 지리적으로 구석진 지역이나 섬 등에서 전력 공급이 어려운 상황에서 유용합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소형원자로 기술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NuScale Power사가 50MW급 소형원자로를 개발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Toshiba사가 4S (Super-Safe, Small, and Simple)라는 10MW급 소형원자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러시아, 중국, 캐나다 등에서도 소형원자로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2014년부터 중견기업인 롯데정밀화학이 100kW급 소형원자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소형원자로는 섬이나 주요 산업단지, 시민공원 등에서의 전력 공급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 원자력연구원도 소형원자로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있으며, 2018년에는 1MW급 소형원자로 개발을 발표했습니다.
소형 원자로(Small Modular Reactor, SMR)는 전통적인 대형 원자로보다 더 작고, 적은 자본 투자로 건설할 수 있는 원자력 발전 시스템입니다. 이러한 소형 원자로는 안전성과 비용 효율성, 그리고 운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미국의 뉴스케일파워(NuScale Power)는 소형 원자로 기술 개발의 선두주자 중 하나로, 이들의 SMR 기술은 미국 원자력 규제위원회(NRC)로부터 디자인 인증을 받기 위한 심사 과정을 거치고 있습니다. 2021년 기준으로 이 회사는 NRC로부터 디자인 인증을 받을 예정이며, 상용화에 앞서 프로토타입 구축 및 시험 운영 등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상용화 시기는 2020년대 후반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한편, 두산중공업은 소형 원자로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두산중공업은 캐나다의 원자력 연구기관인 AECL과 협력하여 원자력 발전소용 원자로 냉각기술인 AFCR(Advanced Fuel CANDU Reactor)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원자로는 캐나다의 헤비 워터 원자로와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며, 두산중공업은 이 원자로를 기반으로 소형 원자로 시장에 진출할 계획입니다.
질문자께서는 탄소 중립 관련 책을 읽다가 소형원자에 대해 궁금해졌습니다. 미국에선 뉴스케일파워가 소형원자에 대한 연구와 개발을 선도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두산중공업이 관련 기술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계셨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상용화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며, 언제까지 상용화될지는 불분명합니다.
안녕하세요. 한 과학전문가입니다.
소형원자로는 매우 어려운 기술입니다. 상용화는 시간이 더욱 필요하며 국내에서는 한국원자력연구원 등에서 연구개발중에 있습니다. 다만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