갭투자라는 게 무얼 의미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되게 많이 들어보고 기사에서도 많이 나왔는데,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를 못했어요.
갭투자라는 게 어떤 건지, 어떤 부분에서 문제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갭투자는 전세보증금을 끼고 매수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10억원 아파트를 매수하는데 전세 8억원으로 세입자를 구한다면 자기자금은 2억원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대출을 받지않고도 고액 아파트를 살 수 있게 됩니다.
갭투자는 세입자의 돈으로 집을 사서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10억 집에 전세 세입자 7억정도를 받으면 내 돈 3억이 있으면 집을 살 수 있습니다.
집 시세와 세입자의 보증금을 뺀 내 투자금(3억)을 갭이라고 하고 이런 투자를 갭투자라고 합니다.
그렇게 매수 해서 집값이 1억 오르면 11억에 매도해서 1억의 수익을 거두는 투자방식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갭투자란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차이가 적인 주택을 전세를 끼고 매입하여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를 의미합니다.
갭투자는 역전세나 집값하락 시 큰 손실을 볼 수 있으며, 시장 과열을 부추기는 문제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갭투자에 대한 내용입니다.
갭투자란 말 그대로 GAP (틈새) 를 이용한 투자입니다.
즉, 주택의 가격이 1억원이라고 예를 들어보면
같은 집의 현재 전세 시세가 9,000만원이라고 하면
집 주인은 실제 자기돈 1,000만원만 갖고 있으면 주택을 매수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갭투자란, 말 그대로 갭을 활용한 투자를 말하는데요. 이 갭이란, 전세가와 매매가의 차이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전세가가 3억이고 매매가가 5억인 아파트가 있다고 가정하면요. 갭이 5억에서 3억을 뺀 2억이 됩니다. 따라서, 실거주를 하지 않으면서 2억만 가지고 있다면 전세 세입자를 활용하여 5억인 집을 매수할 수 있게 됩니다.
문제는 보통 전세가와 매매가가 역전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전세가 3억에 들어갔는데 향후 갑자기 집값이 폭락하여 2.5억이 되었다고 치면 집주인은 전세계약 만료 시점 전세 세입자에게 3억을 줘야하는데 2.5억 밖에 없으니 문제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집값이 오르는 대세 상승기 시기에는 갭투자가 활발히 일어나고 가능한 방법이지만 집값이 횡보 기간이거나 하락하는 시기에 갭투자는 상당히 위험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갭투자는 전세금을 끼고 집을 사는 방식인데, 실제로 집값에서 전세금을 뺀 나머지 돈만 있으면 집을 살 수 있다는 점에서 자본이 적은 사람도 투자에 뛰어들 수 있게 만든 구조입니다. 근데 이게 집값이 떨어지면 전세로 돌려줘야 할 돈이 집값보다 많아지는 상황이 생길 수 있어서 위험한 거고, 세입자 입장에서도 집주인이 전세금 못 돌려주는 전세사기 비슷한 상황에 놓일 수 있다는 게 문제입니다. 그래서 요즘 뉴스에 자주 나오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갭투자와 같은 경우에는 내가 주택을 구매하여
일부자금만을 투자하고 나머지는 전세 세입자의 전세 자금을
활용하는 것으로 집값이 떨어졌을 경우 전세자금이
위험해 처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부동산에서 갭투자라는게 간단하게 10억짜리 집을 사는데 전세가가 8억이면 2억만 있으면 전세 끼고 10억짜리 집을 살수 있습니다 이렇게 실거주 목적아니고 투자목적으로 집을 사는걸 갭투자라고 합니다
이게 문제인건 이렇게 집을 실거주 목적이 아닌 투자목적으로 매매를 빈번히 하니 집가격이 계속 올라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갭투자라는 말은 주식시장에서 쓰이는 용어가 아니며 부동산투자에서 쓰이는 용어입니다 즉 주택의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GAP즈 차이를 이용한 투자방식을 말합니다.
예를들어서 집을 구매할때 5억짜리 아파트의 전세가 4억원이라고 한다면 투자자는 5억짜리 아파트를 구매하고 세입자게 전세를 주고 이 전세보증금을 4억원을 받게됩니다. 즉 이를 위해서 5억의 투자금이 들어가는게 아니라 4억의 보증금을 받게 되니 실질적으로 1억원을 마련하면 되는것입니다.
즉 1억원정도의 내자본으로 부동산을 매수하게되고 향후 부동산 가격이 올라서 6억원에 팔게된다면 4억원은 보증금으로 돌려주고 1억은 내자본 그리고 1억의 시세차익을 거두는 형태를 갭투자 레버리지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갭투자란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주택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액 gap이 적은 집을 고른 후에, 주택을 매입 전후로 바로 전세 세입자를 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갭투자는 매매가격과 전세보증금의 차이만큼만 투자해 주택을 매입하는 방식입니다. 즉, 전세 세입자를 두고 적은 자본으로 집을 사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입니다. 예를 들어 집값이 3억이고, 전세금이 2억5천만원이면, 5천만원만 있으면 집을 살 수 있ㅅ브니다. 집값이 오르면 적은 투자로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가격 하락 시 큰 손실을 볼 위험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갭투자라고 하는 것은 부동산시장에서 많이 활용되는 단어이며, 이는 전세를 담보를 가지고 집을 사는 투자방식입니다. 이는 내가 돈을 조금가지고 있어도 집을 구매하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집을 사서 이를 내가 사는 것이 아닌 전세로 임대를 맡겨 전세금을 가지고 있어 그 손실을 줄이는 것입니다. 다만 임대가 끝나고 나가려고 할때 돈을 돌려줘야 하지만 요즘에는 이러한 것이 제때 이뤄지지 않아 돈을 돌려주지 못하는 전세사기 등으 많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무리하지 않도록 제도적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