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비범한나무늘보
비범한나무늘보22.12.08

순장 풍습에 관한 인륜적 질문

고대시대 왕이나 귀족 등 고위층이 사망하였을 경우

그 왕의 처자와 노비를 장례식에서 함께 매장하던 풍습이라고 알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살아있는 사람을 생매장 했다는 건가요..?

이런 풍습이 그 당시 국가적 차원에서 성행했다는게 너무 무섭습니다.

혹세 제가 모르는 사실이 있을까요?

전문가 님들은 이 풍습이 역사적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순장은 죽음 이후에도 사후 세계가 존재한다는 믿음에서 시작됐습니다.

    죽은 권력자가 죽음 이후에도 권력을 누리며 살기를 빌며 그의 종들을

    생매장 한 것이지요. 지금의 관점으로 볼 때 정말 말도 안되는 일이지만

    당시의 신분 질서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신라 지증왕은 502년에 순장을 폐지시켰습니다. 그래서 삼국시대 말기 무덤에는 이미 순장의 흔적이 보이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순장풍습은 죽은 뒤에도 피장자(被葬者)의 평상시 생활이 재현된다는 믿음에서 나온 것으로, 왕후 또는 귀족 등이 사망했을 경우에 첩(妾)·신하·종자(從者) 등을 함께 매장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이러한 풍습은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데여. 그러나 그 중심은 신분계층이 존재하는 사회, 가부장제(家父長制)가 확립된 사회, 그리고 수메르·이집트·상(商) 등과 같은 절대왕권이 확립된 초기 고대문명 지역 및 그 영향권에 있던 지역이였습니다. 우리나라도『삼국사기』 고구려 동천왕 22년(248)조에는 왕이 죽자 가까운 신하들이 스스로 죽어 순장되려 하자, 사왕(嗣王)예(禮)가 아니라 금했으나 장례일에 이르자 스스로 목숨을 버린 자가 매우 많았다고 기록되어 있고 고구려의 경우에서 보이는 자사순장(自死殉葬)의 풍습은 부여에서 살인순장(殺人殉葬)과 비교되는 또 다른 형태의 순장풍습이라 할 수 있는데요. 신라본기(新羅本紀) 지증왕조(智證王條)에는 502년(지증왕 3) 봄 3월에 명령을 내려 순장을 금하였다. 그 전에는 국왕이 죽으면 남녀 각 5명씩을 죽여서 순장하였는데, 이때에 이르러 이를 금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는 걸로 보아 우리나라는 삼국시대 초에 이미 없어진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