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귀여운팬더곰238
귀여운팬더곰23823.05.28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소승불교와 대승불교로 불교 문화가 나누어져 있다고 들었는데 소승불교와 대승불교는 현재에도 나누어져 있는지와 왜 불교가 소승과 대승으로 나누어지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은 하나이겠지만 이를 해석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불교는 크게는 대승불교와 소승불교로 나뉘었습니다. 대승은 큰 수레, 소송은 작은 수레라는 뜻입니다. 대승불교는 대체로 히말라야를 넘어 동북아로 전파되었는데 소승불교는 인도에서 바닷길로 동남아로 전파되었습니다.

    현재도 이러한 불교가 대체로 지속되고 있는데 종교는 쉽게 바뀌지 않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대승불교는 중생구제를 대목표로 하여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나라가 위기에 빠졌을 때 나라를 구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 호국불교의 특징도 있습니다. 대체로 불교경전을 중시합니다. 소승불교는 개인의 해탈을 대목표로 합니다. 개인의 수행과 깨달음을 얻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 대승불교

    대승불교는 소승불교와 함께 불교계를 이끌어온 큰 종파중 하나로써 중생구제를 목적으로 한다. 대승은 큰 수레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즉 불타는 집에 큰 수레를 끌고 들어가 많은 대중을 구제하는 큰 수레라는 의미에서 유래하였다.

    대승불교는 원래 승려만의 종교였던 불교를 널리 민중에게까지 보급하기 위하여 재가자(출가하지 않고 수행하는 신도)를 포함하고자 하여 불교계의 진보적인 사람들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경향을 시도한 사람들은 자신들을 당시의 불교계와는 다르다는 의미로 기존의 불교계를 작게 본다는 의미에서 소승이라고 불렀다.

    이렇게 등장한 새로운 불교운동은 석가모니에게만 한정하던 보살의 개념을 넓혀 모든 중생이 부처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인정함으로써 모든 중생을 보살로 보고, 자기만의 해탈보다는 남을 보살피는 보살의 역할을 그 이상이념으로 삼고, 광범위한 포교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불교에서 이상적인 삶의 목적이 소승불교에서는 아라한이라고 하여 깨달음을 얻은 성인이 되는 것이 목적이지만, 대승불교에서는 이것을 이기적 모습이라 규정하고 보살이 되는 것이 이상적 삶이라고 한다.

    인도에서 발달한 개혁의 노력으로 발생한 대승불교는 한나라 때 중국으로 건너가 몽골·티베트·한국·일본 등 이른바 북방불교의 주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것이 이른바 동북아시아에 전래된 대승불교인 것이다. 한국에는 고구려 문자왕 때 용수의 삼론종을 비롯하여 법상종·화엄종·천태종·진언종·율종·선종 등이 이에 속한다. 이러한 종파들에 의하여 한국에서는 대승불교가 마침내 독자적인 불교의 형성과 발전에 이르게 된다.

    2) 소승불교

    소승불교는 작은 수레라는 뜻을 가진 산스크리트어이다. 소승불교는 대승에 대비되는 말로 보수적 정통 불교를 주장하던 학파를 말한다.

    소승이라는 말은 원래 대승불교를 믿는 사람들이 만들어준 이름이다. 대승 불교도들은 기존의 보수적 성격을 지닌 소승불교를 비판하면서 자신들이 진리 추구나 중생구제를 목적으로 하는 노력들이 기존의 불교보다 우월하다고 보고 기존 불교를 폄하하는 의미에서 소승이라는 말을 쓰게 된 것이다.

    소승불교는 수행자 자신의 모습을 살펴 각자의 정신세계에만 몰입하고 사회와는 분리된 엄격한 수행을 강조하고 그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개인 해탈을 강조하게 된다. 이렇게 해탈의 수행 과정을 통해 얻어진 이상적 존재를 아라한 또는 나한이라고 하였고, 스스로를 고통으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이 급선무라고 말한다. 소승불교의 발달 과정을 살펴보면, 석가모니때 발달했던 원시 불교와 아소카왕이 불교의 보급과 발전에 공헌했을 때의 불교를 통틀어 소승불교라고 한다. 그러나 기원전 2세기 경 불교계의 개혁을 요구하는 진보적 대승불교가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소승불교는 대승불교의 도전을 받게 된다. 소승불교는 주로 동남 아시아 지역으로 보급되어, 스리랑카, 타이, 베트남, 라오스 등지로 보급되어 이를 남방불교라고 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