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18

조선 전기의 도첩제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서 문의드려요.

제가 알기로는 도첩제가 승려가 출가할때 국가가 그 신분을 증명해 주는 제도로 알고 있는데요. 본래 승려의 수를 제한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고 하는데 이게 그 당시의 불교사상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요? 도첩제의 궁극적 목적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첩제(度牒制) 는 로 승려들만의 신분증명서입니다.

    승려가 되려고 하는 사람에게 국가에 대한 의무를 지게 한 후 도첩을 주는 방식으로 승려가 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 국가의무 이행우선하라는제도입니다. 병역이나 새금납부 먼저하고 승려가 되든 말든 하라하라는것입니다.

    즉, 세금내고 병역마치고 하라는제도.

    왕권강화 목적도있고 세금징수하여 국가 재정 확충 이라는 궁극적 목적이있습니다.

    농민이 승려되는것 방지는 아닙니다.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23.04.18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실시는 군역(軍役) 면제자인 승려의 수를 억제하여 군정(軍丁)을 확보하려는 군사·경제적인 의도도 있었지만, 불교 교세의 인적인 기반을 제약하여 불교를 억압하려 했던 데 보다 중요한 목적이 있었다.


    이 제도는 조선 태조 때부터 강화되어, 승려가 되기를 원할 경우 양반의 자제는 포(布) 100필, 서인은 150필, 천인은 200필의 정전(丁錢)을 각각 바치도록 하였다.


    그러나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다가 세조 때 이 제도를 새롭게 조정하여 승려가 되려는 사람은 교종(敎宗)이나 선종(禪宗)의 본산에서 실시하는 시험에 합격한 뒤 포 30필을 정전으로 바치도록 규정하였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첩제는 승려가 출가했을 때 국가가 허가증을 발급해 신분을 공인해주던 제도입니다.

    조선은 억불숭유 정책을 표방하면서 일반 양인들이 승려로 출가하는 것을 방지하려했는데 양인의 승려화는 농민의 감소로 이어지며 조세 수입 감소로 인한 재정 약화를 초래하고 보다 근본적으로 불교 세력이 확대됨에 따라 숭유억불을 주창하는 조선의 정책과 배치되었습니다.

    또 군역에 충당해야 할 양인이 승려화되면서 군역이 감소되는 부정적 요소도 차단해야 해서 승려의 수를 제한하고자 하는 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교 정책으로 억불하기 위해 도첩제를 태조가 실시합니다. 숭유억불로 조선의 근간은 유교 사회로 불교는 쇠퇴하게 됩니다.

    그 후 태종이 사원의 토지와 노비도 몰수합니다.

    세종이 승록사 폐지와 선교 양종 36개 절만 인정합니다.

    그러나 성종 때 도첩제가 폐지되고 불교가 산간화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첩제는 고려시대에 승려 수를 제한하고 승려의 신분을 증명하기 위해 도입된 불교 신분제도입니다. 이러한 제도는 고려시대 불교사회

    에서승려 수의 증가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고 불교교리의 안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도첩제가 그 당시 불교사상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며 도첩제의 궁극적인 목적은 국가의 불교 제도 관리와 함께 승

    려들의 질적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교를 국교로 하는 고려가 망하고 유교를 기본으로 하는 조선시대의 도첩체는 억불숭유정책(抑佛崇儒政策)을 그 배경으로 자유로운 출가를 제한하고 불교를 국가적인 통치하에 예속시키기 위해서 시행되었습니다. 즉, 승려가 되려고 하는 사람들을 제한 함으로써 불교를 통제하고자 하는 목적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