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흡족한박새134
흡족한박새13423.12.11

조선시대 당시에 '도첩제'를 시행을 한 이유는?

조선시대에 승려를 대상으로 실시했던 도첩제가 정확히 어떤 제한을 명시한 제도인지?

도첩제를 시행하게 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11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첩제는 조선 시대 세조 때 실시한 승려 신분증 제도입니다. 고려 시대는 불교 국가로 승려의 수가 매우 많았다고 합니다. 조선 초 아직 왕권이 확립되기 전에 이들 모두를 양민으로 만들면 반란 등 정치적으로 어려운 일이 있을 것을 우려하여 세조 때 승려 신분증을 만들어 극히 소수만 승려로 인정해 주고 대다수는 양민으로 만든 정책이라고 합니다. 왕권이 강화된 성종 때는 도첩 제도를 폐지하여 승려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첩제는 승려가 출가했을 때 국가가 허가증을 발급하여 신분을 공인해 주던 제도를 말합니다. 고려 말부터 승려가 출가할 때 국가에서 그의 신분을 인증해 주던 제도로서 조선 초기에 강화되었고 억불숭유 정책을 표방하면서 일반 양인들이 승려로 출가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양인의 승려화는 농민의 감소로 이어지면서 조세 수입 감소로 인한 재정의 약화를 초래하였으며 군역 등도 부족해질 수 있기에 추진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첩제는 조선시대 승려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제도로 승려들의 행동과 활동을 통제하고 제한하는 목적이었습니다.

    성리학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승려들의 행동을 규제하고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승려들은 특정 지역에서 활동할수 있도록 지정된 범위 내에서만 이동이 가능했으며 특정한 종류의 옷을 입거나 특정한 색상을 사용하는 등의 규정과 함께 승려들을 소속된 단체에서 지속적으로 감독하고 통제하는 구조를 가졌습니다.

    성리학적 시각에서 승려들이 도덕적이고 예의 바른 행동을 보이도록 해 사회의 안정을 증진하려 했고 승려들이 무분별한 이동이나 행동으로 발생할수 있는 사회적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제도를 마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