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특히 여름에 번개가 치는 때가 있던데, 번개가 치는 원리가 궁금해서요.

비가 자주 내리는 여름에는 천둥과 함께 번개가 많이 칩니다.

이러한 자연현상은 왜 일어나는지 그 과정이 궁금할 때가 많은데요.

번개 치는 그 원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는 구름 내부의 얼음 입자와 물방울 충돌로 발생하는 마찰 전기로 인해 구름 내부 또는 구름과 지상 사이에 전하가 쌓입니다. 이 전위차가 커지면서 순간적으로 방전되면서 발생하는 자연 현상입니다. 이 방전 과정에서 엄청난 열과 빛 에너지가 방출되며, 이 빛 에너지가 바로 번개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는 어떻게 생기는 걸까? 우리는 보통 비 가 내릴 때 이따금 번개가 치는 것을 보게 된다. 이 렇게 번개는 보통 적락운(제)이라고 불리는 수 직 형태의 소나기구름에서 나온다. 솜사탕처럼 푹 신푹신해 보이는 구름이지만 사실 그 내부에는 작 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들이 존재하고 있다. 구 름의 10종 형태 중 적란운 형태에서는 구름을 이루 는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들이 서로 부딪히고 깨져 가며 어마어마한 에너지 마찰 전기가 발생한다.


      이 전기 에너지들은 적락운의 상층부에서 양전하, 하층부에서 음전하로 모이게 되는데, 양과 음은 서 로 끌어당기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형성된 전압이 일정 수준을 넘어버리면 더는 적락운 내에 서 감당이 불가능해져 방출해 버릴 수 밖에 없게 된다. 번개란 구름 속 전자들이 외부로 유출되어 버리는 순간적인 방전 현상이다. 또한 이 에너지가 폭발하듯 방출될 때 나오는 우렁찬 소리가 바로 천 둥(우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