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지혜로운사자35
지혜로운사자35

저힝에 의해서 전류와 전압을 조절한다고 하는데요. 근데 열이 발생되면 기기에 성능에 문제가 있는데 다른 방법으로 조절은 안되나요?? 어려워서 그런건가요??

저힝에 의해서 전류와 전압을 조절한다고 하는데요. 근데 열이 발생되면 기기에 성능에 문제가 있는데 다른 방법으로 조절은 안되나요?? 어려워서 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로 전류와 전압을 조절할수 있지만 제일 쉬는 방법이 저항을 사용하는 방법이여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설계를 할때 저항의 크기와 발열 정도도 체크해서 설계하는 것입니다. 너무 많은 열이 발생되면 성능에 문제가 될수 있어서 설계 단계에서 문제가 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입니다. 전류의 경우 트렌지스터를 활용해서 조절이 가능하고 전압의 경우 레큘레어터로 조절이 가능하나 이런 소자들은 비용도 들어가고 설계시 많은 것을 고려해야되서 저항이 싸고 바로 적용가능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저항으로 전압이나 전류를 조절하면 불필요한 전력이 열로 소모되어 효율이 떨어지고 기기에도 부담이 됩니다 그래서 실제 전자기기에서는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스위칭 전원장치 같은 반도체 소자를 사용해전류를 끊어주거나 제어하면서 손실을 줄입니다 결국 저항은 단순하고 쉽지만 비효율적이라 효율과 성능이 중요한 회로에서는다른 방식을 주로 쓰이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열이 많아지면 기기 성능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조절 방법으로는 저항 대신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스위칭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런 스위칭 회로가 저항 조절 방식에 비해 설계와 이해가 복잡하다고 볼 수 있지만,

    성능과 효율이 중요하다면 스위칭 전압 조절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V=IR 옴의법칙은 세계적인 권위있는 전기법칙인데요. 전류와 전압은 결국 저항의 영향을 받는데 열발생은 필연적인데요. 근데 꼭 전압이 아니어도 전압과 전류자체로 서로를 조절할수도 있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