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관혼상제에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홀쭉한타킨이11입니다.

관혼상제는 사람이 태어나서 치루게 되는 4가지 의식을 말한다는데 어떤것들이 포함되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관례ㆍ혼례ㆍ상례ㆍ제례의 총칭. 관(冠)ㆍ혼(婚)ㆍ상(喪)ㆍ제(祭)의 4가지 예법을 말합니다.

      관례는 머리에 갓을 써서 어른이 되는 의식입니다. 옛날에는 남자 나이 20살이 되면 관례를 행하고, 여자 나이 15살이 되면 머리에 비녀를 꽂았습니다. 혼례는 혼인하는 예법, 상례(장례)는 상중(喪中)에 행하는 예법, 제례는 제사지내는 예법입니다.

      ① 관례: 여자의 경우는 계례(笄禮)라고 한다. 남자가 성인이 되었을 때는 상투를 올리고, 여자는 비녀를 꽂는 성인의 의식을 말한다. 시대가 달라져 지금은 이런 절차는 하지 않지만 남녀 20세가 되면 성인식이라 하여 대개는 단체로 성인의식을 올리기도 한다.

      ② 혼례: 혼인은 인륜대사라 하여 그 의식과 절차가 엄숙하게 이루어진다.

      ③ 장례(상례): 사람이 죽으면 장례를 치르게 되는데 장례일은 삼일장, 오일장, 칠일장 등 장례기간에 따라 명칭을 붙인다. 대개는 삼일장을 치른다. 삼일이란 기간은 부활, 저승에 갔다가 되돌아오는 기간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④ 제례: 장례가 끝나면서 제례가 따른다. 장례 후 제례에는 3일만에 산소에 서 절을 하고 잘 살피는 삼우제 등이 있다. 시대의 변함에 따라 조금씩 달라져 왔다. 그러나 근본정신은 조상의 은혜에 감사하고 경모하는 것이 기본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관혼상제 [冠婚喪祭] (원불교대사전)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관례ㆍ혼례ㆍ상례ㆍ제례의 총칭. 관(冠)ㆍ혼(婚)ㆍ상(喪)ㆍ제(祭)의 4가지 예법. 관례는 머리에 갓을 써서 어른이 되는 의식이다. 옛날에는 남자 나이 20살이 되면 관례를 행하고, 여자 나이 15살이 되면 머리에 비녀를 꽂았다. 혼례는 혼인하는 예법, 상례(장례)는 상중(喪中)에 행하는 예법, 제례는 제사지내는 예법이다.


      출처 : 원불교 대사전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관혼상제(冠婚喪祭)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거치는 네 개의 큰 예식으로, 성인식에 해당하며 한 사람 몫의 일을

      하게 된 것을 기념하는 관례(冠禮),

      가문의 연결이며 가정을 꾸리는

      예식인 혼례(婚禮), 인간의 죽음을

      애도하는 상례(喪禮), 조상에 대해

      경의를 올리는 제례(祭禮)로 구성된다.


      -출처: 나무위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관혼상제(冠婚喪祭)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https://folkency.nfm.go.kr › topic › detail

      사람이 일생을 살면서 거쳐야 하는 대표적인 네가지 의례인 관례冠禮・혼례婚禮・상례喪禮・제례祭禮를 총칭하는 말. 역사; 내용; 지역사례; 특징 및 의의; 참고문헌 ...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관혼상제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거치는 네 개의 큰 예식으로, 성인식에 해당합니다.

      한사람 몫의 일을 하게 된것을 기념하는 관례, 가문의 연결이며 가정을 꾸리는 예식인 혼례, 인간의 죽음을 애도하는 상례, 조상에 대해 경의를 올리는 제례로 구성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