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

맨틀 외핵 내핵의 구분은 어떻게 하나요??

학교수업 중 맨틀과 핵 부분에 대해 얼핏 들었는데요.

토양의 구성성분으로 하는지, 아니면 길이로 하는지 기억이 안나서요. 맨틀, 외핵, 내핵의 구분은 무엇으로 어떻게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내부는 지각층, 맨틀, 외핵, 내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지각층: 지표면에서부터 약 40km 깊이까지 위치하며 지진파의 속도가 갑작스럽게 증가하는 지역입니다.

      • 맨틀: 지각층 아래부터 약 2900km 깊이까지 이어지는 두꺼운 지층으로, 지진파의 속도가 매우 높은 지역입니다.

      • 외핵: 맨틀 아래부터 약 5150km 깊이까지 이어지는 액체 상태의 지층입니다.

      • 내핵: 외핵 안쪽으로 약 1220km 깊이까지 위치한 고체 상태의 지층입니다.

      맨틀, 외핵, 내핵의 구분은 지진파의 속도와 지구 중심부로부터의 거리를 기반으로 합니다. 지진파는 지각층을 통과할 때 속도가 변하므로, 지진파의 속도 변화를 측정하여 지각층, 맨틀, 외핵, 내핵의 경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지진파의 속도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은 지진계를 사용하여 지진의 파동을 기록하는 것입니다. 지진파의 속도 변화는 지구 중심부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를 이용하여 맨틀, 외핵, 내핵의 경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구 내부에서의 압력과 온도의 변화도 맨틀, 외핵, 내핵의 구분에 영향을 미칩니다. 맨틀, 외핵, 내핵의 온도와 압력은 중심부로 갈수록 증가하며, 이는 지진파의 속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지진파 속도, 온도, 압력 등을 고려하여 맨틀, 외핵, 내핵의 경계를 결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구조를 대강 나누면 지각(지각학적 구조)과 지하(지하학적 구조)로 나뉩니다. 지각은 지표면부터 지하 깊숙이 내려가는 지층 구조를 의미하며, 지하는 지각 아래에 위치하는 지하 구조를 말합니다. 지하 구조는 지하로 내려갈수록 압력과 온도가 증가하면서 단단한 지각과는 달리 액체 상태인 맨틀, 외핵, 내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맨틀(Mantle): 지각과 내핵 사이에 위치하며, 암석과 마그마로 이루어진 지층입니다. 지각을 둘러싸고 있으며 지각의 약 84%를 차지합니다. 온도는 지각에 비해 높지만 내핵보다는 낮습니다. 지각의 표면을 휘감는 편평한 태양열 대류(Convection)의 영향을 받아 마그마를 만들고 지각 표면에 끌어당기며 판 운동을 일으킵니다.

      • 외핵(Outer Core): 맨틀 아래에 위치하며 지구의 중심부와 내핵 사이를 차지하는 액체 철과 니켈로 이루어진 구조물입니다. 지구 자전에 의해 만들어지는 자기장을 생성합니다. 외핵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이 우주에서 발생하는 고에너지 입자들을 막아주어 지구 생명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내핵(Inner Core): 지구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반지름 약 1,220km 크기의 암석과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온 고압의 구조물입니다. 외핵과 달리 고체 상태이며 지구 내부에서 가장 높은 온도와 압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구의 회전 운동으로 생성된 자기장의 원천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