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대견한오솔개199
대견한오솔개199

AI 문명이 고도로 발달하면 할수록 부의 편중은 가속되는 것 아닐까요

앞으로 AI 문명이 고도로 발달하면

할수록 특히 노동 시장에서의 대변혁도 예고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대가 지속적이고 그리고 앞으로 전 분야에서 이루어진다면

부익부 빈익빈

즉 일할 사람은 일자리가 없고 또 인간을 대신할 대체 수단으로 로봇과 AI 운명이 들어섬으로써

부의 편중이 가속화되어 되는 미래를 상상하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자본주의 시장주의라는게 다 그렇습니다 1800년대만 해도 산업화가 되면서 철도왕 석유왕 금융왕등 미국에서는 각종 산업계의 왕과 유럽계에서도 엄청난 자본가가 집중화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신산업이 더 등장할수록 부가가기가 큰 산업으로 자본가가 지속적으로 시장을 장악하고 유지하기 때문에 이런 양극화는 더 심해지고 향후에도 AI의 산업으로 재편되면 여기서 탈락한 하위층으로 많아 지게 되므로 소득격차는 더욱 커지게 될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AI 문명이 고도로 발달할 수록 부의 편중이 가속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AI 기술의 발전이 일어날 수록

    부의 편중이 가속되어서 부익부 빈익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인공지능 문명이 발달하게 된다면 이러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이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사람이 보다 부자가 될 확률이 큽니다. 이러기 위해서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가진 창의적인 능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기초적인 자본을 가진사람이 좋겠습니다. 결국 인공지능의 경우 어떠한 방법으로 풀어가느냐에 따라 해답이나 알려주는 정보가 다르기 댸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그 걱정이 괜히 나오는 게 아니라고 봅니다. AI가 더 똑똑해지고 로봇이 더 싸지고 편해지면 결국 기업 입장에서는 사람 대신 기계를 쓰는 게 훨씬 이득이니까요. 그래서 일자리가 줄고 특히 단순 반복 업무 쪽은 먼저 밀려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면 남는 건 결국 소수의 기술 가진 사람이나 자본 가진 사람에게만 기회가 몰리는 그림이 될 수 있습니다. 사실 지금도 플랫폼 노동이나 배달 같은 쪽에서 이미 비슷한 현상이 보이고 있죠. 다만 또 한편으론 새로운 직업이 생기기도 하니까 그 균형이 어떻게 맞춰질지가 문제입니다.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속단하기엔 이르지만 ai의 발전은 분명기회와 더불어 문제점도 부각하게될것입니다.노동력의 불필요는 당장은 실업률을 높이지만 어차피 경제활동은 인간의 몫이기에 ai로 창출한부도 인간에게 돌아가야하는구조라 다른일자리와 새로운일자리가 마련되게될것입니다. 사회제도와 정책도 그에 맞게.변화하면서 사회는 균형을 다시 갖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AI 가 발전하면 할수록 일자리가 줄어들긴 할거 같습니다 요즘 서빙도 AI 로봇이 하고 음식도 AI 로봇이 만들죠 식당 주문도 테블릿으로 하는 경우도 많구요 어쩔수 없는 시대의 변화라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글로벌 4대 회계법인 중 하나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의 최근 조사결과에 따르면, AI 기술발달이 국가간 양극화를(부익부빈익빈) 더 심화시킬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기술발달에 의한 경제성장으로 부자는 물론, 가난한 사람들도 혜택을 누리게 되어 생활수준이 향상되었지만, 기술발달이 심화될수록 경제성장의 혜택은 부자일수록 더 많았고, 가난할수록 적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