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치료백신은 언제 나오나요??
코로나19치료백신이 언제 나오는지 내년에는 나온다는 말이 있어서 출시되는 시점이 궁금하네요
그리고 치료되면 어디까지 되는지 100%되는지 긍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국내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에 대한 치료제 2종이 국내 식약처의 허가에 따라 환자 치료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 중증 환자 대상 : 항바이러스제 렘데시비르
- 경증-중등증 고위험(고령 등) 환자 대상 : 코로나19 항체치료제(렉키로나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치료백신이라는 말은 없습니다.
백신은 감염이 되지 않도록 예방적으로 접종하는 예방 주사이며, 치료제는 감염이 되었을 때 치료를 하는 약물입니다.
언제 나올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안녕하세요.
질문자님께서 질문하신 코로나 치료 백신은 코로나 치료제를 문의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코로나 치료제는 제약회사에서 임상실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허가를 언제 받을 수 있을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출시 시점을 알 수 없으며, 코로나 치료제의 효능은 아직 알 수 없기 때문에 답변을 드릴 수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항바이러스제는 보통 바이러스의 복제 및 생성을 방해함으로써 활동을 줄이게 만드는 원리로 개발이 됩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코로나 계열의 바이러스로 변이가 생성되도 복제및 활동하는 원리를 알게 된다면 효과적인 치료제를 개발할수 있습니다.
개발시기는 정확하게 예측하기는 힘드나 전세계적으로 연구를 하고 있으니 조만간 개발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치료제가 언제 출시될지 궁금하여 문의 주셨습니다.
현재도 렘데시비르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덱사메타손이라는 스테로이드 등도 사용되고 있으나 렘데시비르의 경우 독성 부작용이 심하고 정상적인 몸에 영향을 주기에 좋지 않습니다.덱사메타손도 결국 본인의 면역을 떨어뜨려 다른 감염에 취약하게 만든다는 단점이 있습니다.그 외에도 렉키로나주와 같은 코로나 19 바이러스 항체를 이용해 만든 항체 치료제가 있긴 하나 한명당 80~100만원정도 비용이 듭니다.
현재 머크사에서는 몰누피라비르 약을 만들고 있고, 이는 위에서 말한 렘데시비르와 기전이 같습니다. 이에 부작용이 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화이자에서 개발하는 약은이전에 코로나 19치료제로 쓰였다가 효과가 없다고 결론난 에이즈 치료제인 칼레트라와 기전이 같습니다.
결국 치료제가 나오더라도 사실상 부작용이 심하거나 생각보다 효과가 없는 경우가 많을 수 있습니다. 치료제가 나오기까지도 시간이 많이 남았으며 생각보다 나오더라도 효과가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인 백신접종 + 손씻기 + 마스크 착용 + 밀집되는 곳 가지 않기 등을 최대한 실천하게 되면 치료제가 나오기 전에 현재의 코로나 세상에서 많이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2021년 상반기에 코로나 치료제가 개발되어 보급화될 수 있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치료제와 약은 임상시험 과정을 통과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약들이 보통 이러한 과정에서 중단되는 경우도 흔합니다.
조금 더 지켜보아야 할 것으로 보이며 시간이 더 걸릴 수도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치료제의 경우 각 나라 제약사에서 3차 임상을 진행하고 있는 회사가 많습니다.
올 연말에 개발이 될것이라고 예상되고 있긴 하지만 더 늦어 질수도 있습니다.
셀트리온의 경우 3차임상을 진행중이긴합니다.
치료제의 경우 무료보급보다는 개인돈을 주고 사먹을 것 같습니다.
답변남깁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코로나 치료제의 경우 기존약제를 조금 사용하고 있긴하지만 완벽한 치료제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코로나 치료제도 현재 지속적으로 개발 연구 중이나 뚜렷한 성과가 없는 상황입니다. 초창기 유행당시 사용했던 약제들도 연구결과 큰 효과를 보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어 현재는 예방이 최선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현재 코로나 치료제는 출시되어 있고 활발히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선 코로나에 감염되면 렘데시비르와 스테로이드를 병용하여 사용하고 있고 ,중증인 경우 렉키로나주 등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백신보다 치료제가 먼저나왔으니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언제 나올지 알 수 없습니다.
백신+개인위생+사회적 거리두기 해주십시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독감도 코로나와 같은 호흡기 바이러스이지만 유효한 치료약제 개발에 수십년이 걸렸고 현재도 극적인 치료효과를 보이는 약제는 없습니다. 타미플루라도 치료효과가 대단하다고 보기에는 조금 부족한 편입니다. 아마 코로나 치료제 개발은 수년간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로서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머크와 화이자 등에서 임상 시험이 진행중이나 도중에 실패할 가능성도 염두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맹목적으로 기다리기보다 조금 더 너그러워질 필요가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직까지 정확히 알 수는 없습니다. 과거 전세계를 휩쓴 펜데믹에 비추어 보았을 때 단기간에 끝나지ㄴ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과학이 발전하였지만 인류는 바이러스나 세균에 대한 대비가 생각보다 하지 못했다는 것이 이번 코로나로 밝혀졌습니다. 아마 백신 이후에 치료제가 나오더라도 변이 바이러스에 의해 지속적으로 인류의 위협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마 1~2년 사이에는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치료제도 현재 지속적으로 개발 연구 중이나 뚜렷한 성과가 없는 상황입니다. 초창기 유행당시 사용했던 약제들도 연구결과 큰 효과를 보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어 현재는 예방이 최선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이미 몇가지 치료제가 사용 중 입니다.
렘데시비르 외에도
셀트리온에서 나온 렉키로나 주사제 같은 것이 있습니다.
이미 임상에서 사용 되고 있고요
코로나에서 회복된 사람에서 얻은 항체를 복제해서 주사하는 형태로서
효과가 일부 있다고 하나 그에 비해 비용이 너무 비싸서 비용대비 효과는 떨어지기 때문에 임상에서 널리 사용 되지는 않고 있습니다.
머크사의 몰누피라비르라는 경구 치료제도 현재 개발 중에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19 바이러스는 기본적으로 감기 바이러스입니다. 감기의 치료제가 없듯이 치료제를 만들기란 매우 어렵습니다. 바이러스는 변이도 잘 하기 때문에 세균처럼 동일한 항생제를 오래 쓸 수가 없고 치료제도 자주 진화를 해야 하는데 그 속도를 따라가기가 어렵습니다. 치료제 개발을 많이 하고 있지만 성과가 더딘 이유입니다.
현재 개발 중인 백신이나 치료제 관련된 내용은 회사 차원에서 기밀 사항입니다. 관련 내용은 회사 내부 인사들만 알 수 있고, 그것을 유출해서도 안됩니다. 때문에 의료인들은 알 수가 없습니다. 나올 때까지 기다리는 수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