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끝없이강한목련
끝없이강한목련

옥상 배수 문제로 장기간 침수 상태입니다

매매하기로 한 주택이 옥상 배수 문제로 3개월이상

물이 찬 상태로 방치되어 있었습니다

옥상이 출입 불가능한 상태로 사다리를 통해서만 올라갈수 있으며 알게 된 경위는 창틀로 물이 떨어지는것을 발견하여 원인을 찾다가 발견했습니다

이럴경우 옥상 방수층및 주택 내구성에 문제가 없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

    옥상에 물이 찬 상태로 3개월이나 있었는데, 실내로 누수가 된 것은 없었나요? 만약 누수된 것이 없었다면 방수층은 잘 살아있는 것 같습니다. 원래 옥상으로 가는 계단실이 있다면 방수턱의 높이가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물이 찬 높이가 그 이하일 것 같습니다. 난간대에도 방수턱 높이를 많이 높이지 않지만 계단실 방수턱 이상은 합니다. 그 높이를 넘어선다면 계단실로 물이 치고 들어가거나 난간대의 구조체를 통해서 물이

    스며들 수는 있을 겁니다. 그런 것을 감안했을 때 3개월 동안 누수가 없었다면 물이 방수턱을 넘기지 않았고, 방수층이 물을 잘 막아주고 있었던 것으로 유추할 수 있습니다. 방수턱 정도의 물이라면 구조체에 큰 영향을 줄만큼 하중도 아닐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래도 물이 계속 차 있는 것이 좋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러니 우수관이 막힌 원인을 찾고 해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매매하기로 한 것이라면 이전 소유자에게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인지도 협의해 보십시오. 그게 아니면 우수관 문제를 해결하는 비용만큼 빼줘야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비용이 얼마나 들지 모르니 해결한 뒤 매입하는 것이 좋겠죠.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장기간 침수 상태는 옥상 방수층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물이 지속적으로 고이면 방수층의 들뜸, 갈라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결국 빗물 누수로 이어져 실내까지 피해가 확산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구조재 부식, 곰팡이, 콘크리트 약화 등 주택 내구성 저하가 우려됩니다. 빠른 배수 조치와 방수층 점검 및

    보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