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개 알러지가 우렁이나 골뱅이를 먹어도 되나요?
조개 알러지가 있어서
그와 관련된 거의 모든 조개류와 굴, 전복 등등 해산물을 먹으면 거의 비슷하게 피부발진과 함께 부음, 배탈, 구토감, 열이 납니다.
그래서 대충 단단한 등껍질이 있는 해양 생물섭취는 자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니 골뱅이와 우렁이,달팽이도
비슷한 모양새를 하고 있는데
또 해산물이 아닌 육지 생물이라 뭔가 섭취 가능할지 확신이 서지 않습니다.
조개 알레르기가 있다면 교차반응 가능성이 있는 음식은 주의해야 합니다.
골뱅이, 우렁이, 달팽이는 조개와 생물학적 분류가 달라요.
조개는 연체동물문 이매패강에 속하지만
골뱅이, 우렁이, 달팽이는 연체동물문 복족강에 속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단백질 구조가 비슷해 교차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어요.
실제로 조개 알레르기 환자에서 달팽이에 반응하는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죠.
증상 정도는 개인차가 있지만, 위험 가능성을 배제하긴 어렵습니다.
조개류 외에도 새우, 게, 가재 등 갑각류에서도 교차반응이 나타날 수 있고, 심지어 곤충과 진드기에 이르기까지 연관 알레르겐 반응이 보고되고 있어요.
가장 안전한 방법은 의사 선생님과 상담을 통해 정확한 알레르기 원인과 주의해야 할 식품군을 확인하는 거예요. 식품 알레르기 검사, 유발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겠네요.
조개 알러지가 있는 경우, 우렁이나 골뱅이와 같은 다른 연체동물을 섭취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조개류 알러지는 주로 단백질인 트로포미오신에 대한 반응에서 비롯되며, 이 단백질은 조개뿐만 아니라 다른 연체동물에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골뱅이(소라)와 우렁이는 조개류와 비슷한 알러겐을 가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알러지 반응을 일으킬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육지 생물이라 할지라도 달팽이류에 속하는 우렁이는 해산물에 속하지는 않지만 비슷한 알러젠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안전을 위해, 알레르기 전문의와 상의하여 피부 반응 테스트나 혈액 검사 등을 통해 구체적인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반응을 확인한 후 식단에 포함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알레르기의 경우 교차 반응이나 보관상태에 따라 교차오염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어서 알기가 어렵습니다.
갑각류 알레르기가 있어도 연체류, 어패류에 대한 알레르기는 드문 편이나 거의 모든 조개류와 굴, 전복 등에도 알레르기 반응이 있다면 골뱅이나 우렁이, 달팽이에도 비슷한 반응이 나타날 가능성이 생각되어 피하실 것을 권합니다.
어패류가 아니기 때문에 섭취를 하여도 문제될 것은 없어 보입니다만, 알러지 반응을 미리 예측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무조건 문제가 없으리라 장담할 수는 없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조개 알러지의 경우 큰 범주에서는 조개/갑각류에 대한 알러지가 있는 것으로 이해하셔야 하며, 말씀하신 달팽이의 경우는 알러지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골뱅이의 경우는 약간 다르긴 하나 알러지가 있는 분들의 발생 가능성은 일반 경우에 비해서는 높습니다.
말씀드린 것처럼 전반적인 갑각류에도 알러지가 있을 가능성이 높아 새우나 게를 드실 때에도 조심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패류알러지가 있으시네요.
연체동물에 속하는 패류 (조개류) 중 대표적으로 유명한 16가지 종류는
전복, 굴, 홍합, 가리비, 고둥, 골뱅이, 소라, 꼬막
키조개, 바지락, 다슬기, 우렁이, 동죽, 재첩, 백합, 모시조개 입니다.
따라서 골뱅이나 우렁이 또한 알러지를 일으킬 가능성이 다분합니다.
주의하시길 권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