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내가계의 가처분소득과 실질소득의 동향이 어떤 추세인가요?
국내 물가상승은 지속추세중이며 금리상승으로 인한 이자비용압박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현재 국내가계의 가처분소득과 실질소득의 동향이 어떤 추세인지 궁금합니다
질문해주신 국내 가계의 가처분소득과 실질소득의 동향의 추세에 대한 내용입니다.
최근 고물가로 인해서 국내 가계의 가처분소득과 실질소득은 계속 마이너스로 향하고 있습니다.
소득은 늘지 않고 물가는 높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명목소득은 상승하였지만 그보다 물가가 더크게 상승하여 가계의 실질소득은
감소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가처분소득의 감소와도 같은말이며 우리나라 경제성장율은 올라갈지라도 가계의 경제상황은
작년보다 더욱 악화될 전망입니다
추가적으로 고금리까지 겹치며 비용은 안잡히고 물가만 상승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것 중에 최근 실질 소득 자료가 발표되었습니다 1분기 기준으로 실질 소득이 감소하였습니다. 꽤 적지 않게 감소했는데 주요 원인으로는 대기업의 성과급이 대폭 줄어들어서 명목 임금이 늘어나지 않은 것도 있고 가장 큰 것은 물가 상승률이 너무 높아서 실제 임금이 줄어들었답니다
✅️ 가처분소득은 사실상 감소추세나 마찬가지이고, 물가상승률이 가파르게 나옴에 따라 실질소득도 줄어드는 추세라고 합니다. 이런 추세에서는 근로자 월급을 더 올려주거나 해야지 안그러면 이래저래 답이 없습니다.
현재 국내 물가상승이 지속되고 있으며 금리 상승으로 인한 이자비용 압박이 커지고 있다는 상황에서 가처분소득과 실질소득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물가 상승으로 소비자물가가 상승하면 가계의 구매력이 감소할 수 있고, 금리 상승으로 이자비용이 증가하면 가계의 이자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가처분소득과 실질소득의 추세를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가계의 소득 수준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국내가계의 가처분소득과 실질소득은 부정적인 추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국내 물가와 금리가 오르면서 가계가 쓸 수 있는 돈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벌어들이는 돈에서 세금과 필요 지출을 빼고 남을 가처분소득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 때문에 실질소득인 실제 살 수 있는 물건과 서비스 양도 줄어들고 있습니다.
고물가 여파로 올해 2분기 우리나라 가구의 실질소득이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고물가를 잡기 위한 고금리가 이자비용 부담을 키우면서 가처분소득도 최대 폭으로 줄었습니다. 가구가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가처분소득 감소는 소비지출 둔화로 이어졌다.통계청은 24일 이런 내용이 담긴 ‘2023년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국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79만3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8% 줄었습니다. 2분기 기준으로 통계청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최대 감소 폭입니다. 가구 소득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한창이던 2021년 2분기에 0.7% 줄어든 이후 7개 분기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습니다. 그러나 올해 2분기에 다시 마이너스돌아섰습니다. 통계청은 지난해 지급된 소상공인 코로나19 손실보전금 효과가 사라진 탓이 크다분석했습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1∼3분기 전체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2%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통계청이 내놓은 2024년 1·4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전년동기 대비 1.4%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