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내과

순한물총새47
순한물총새47

땀을 많이 흘리는건 치료를 해야 할까요?

성별
여성
나이대
54
기저질환
없음
복용중인 약
없음

평소 실내유산소 운동을 30년 넘게 지속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요가나 스트레이칭도 챙겨서 함

가끔 걷기도 합니다

운동을 좋아하기도 하지만 스트레스가 많은 직업이라

운동으로 풀고 있습니다

튼실한 하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에 비해 운동시엔 과하게 흠뻑 평상시에도 온몸에 땀을 많이 흘리는 편입니다

움직이거나 조금 매운음식을 먹거나 등

더위는 많이 안타는 편이며, 에어컨 선풍기바람 싫어함

따뜻한 물이 좋다고 해서 사시사철 차가운 물은 잘 안먹고

따뜻한물1.5리터 이상 챙겨 먹음

혈압. 당뇨없음 지방간없음 빈혈없음 술 담배 안함

갱년기? 둔해서 그런가 아직 못느끼는것 같음

30대 40대 50대인 지금도 똑같이 땀이 많은편

겨울 봄 가을에도 예외없음

겨울이나 써늘할 때 실내 운동시 손은 차가고 시려도 땀은

흠뻑 온몸에서 쏟아내죠

여름엔 덥다는 생각은 안하는데 땀은 많이 남

가끔은 사람들과 식사하다 혼자 땀을 흘리고있어

불편한 생각이듬

친구들은 운동해도 땀이 안난다고 땀 흠뻑 흘려 봤으면

좋겠다 부럽다 말하는데 저는 불편하다는 생각

오랫동안 운동을 꾸준히 하면 땀 구멍이 활짝열려 땀을 많이 흘리는거다 라고 하던데 맞는 말인지

아니면 제몸에 문제가 있어 땀이 많이 나는걸까요?

50중반으로 접어들다 보니

문득 불편한건 문제가 있는건데 하는 생각이 드네요

치료를 받아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다한증은 일상생활에 큰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면 반드시 치료를 요하는 질병은 아닙니다.

      다한증의 치료는 크게 침습적인 치료와 비침습적 치료로 나누어집니다.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치료는 주로 침습적인 치료로서 흉강경을 통한 교감신경절제술, 요부 교감신경 차단술, 보톡스 치료법, 액와 땀샘 제거술 등이 있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다한증은 일반적으로 피부과를 내원하시어 진료를 보시면 되겠습니다.

      다한증의 치료법은 다양하지만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1. 땀억제제

      겨드랑이, 손, 발, 머리

      2. 보톡스 주사

      겨드랑이

      3. 다한증을 억제하는 약물

      부작용으로 전신증상의 가능성

      4. 수술적 제거 방법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땀이 어느 정도 나는지는 사람마다 다릅니다. 때문에 단순히 땀이 많이 난다는 것 자체가 질병적인 소견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어떠한 질병이 발생하였을 때 그로 인해 땀이 난다면 질병을 치료해야 겠으나, 질문자 분의 상황을 들어보았을 때 그런 상황은 아닌 것으로 생각되며 특별한 치료방법도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땀을 많이 흘린다고해서 특정 질병상태를 나타내는건 아닙니다.

      그만큼 수분섭취를 잘 해주어야겠지요.

      기본적인 건강검진을 꾸준히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원인의 가능성이 있는 다한증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다한증은 전신질환에 있어서 그때문에 다한증이 나타나는경우와, 전신질환은 없는데 그냥 다한증이 나타나는 경우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다한증을 일으키는 전신질환에는 크게, 갑상선기능항진증, 전립선관련질환, 내분비 질환등이 있습니다.

      다한증이 불편한 경우, 땀을 억제하는 약제를 피부에 도포하거나, 약물치료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에도 계속적인 불편함이 있는 경우, 수술을 진행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수술방법에는 교감신경절제술과 땀샘을 절제하는 수술이 있습니다.

      (이러한 수술방법은 손, 겨드랑이 정도에 제한적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추가로 보톡스주입으로 다한증을 억제하려는 시도를 해볼 수도 있습니다.

      다한증치료의 부작용은 당연히 건조증이 올수있습니다.

      안구건조증, 구강건조증등의 부작용이 올 수 있으니 유의하셔야합니다.

    • 평상시 땀을 많이 흘리는 것으로 병적인 상태임을 의심할 수 없습니다. 특히 질문자님처럼 체질적으로 땀을 많이 흘리시는 것으로 치료가 필요하거나 하지 않습니다. 평상시에 탈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히 수분 섭취를 해주시는 것으로 충분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