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AI 미래는 과연 적어도 아시아 허브로 성장할 수 있을까요
갈수록 치열해지는 미래 먹거리경쟁 체제에서
AI 분야도 가장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 정부 들어서 이어지고 있는 대폭적인 AI 정책 드라이버와 그리고 투자 계획 중인 블록딜과의 협업투자등
과연 적어도 아시아 허브로
또 나아가 세계를 선도하는 산업으로도 우리나라가 도약하고 성장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의 AI 미래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실, 한국은 아직 갈 길이 먼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으로 양분된 AI 기술의 격차를 따라잡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지만
그렇다고 아무것도 하지 않을 수 없기에
무엇이라도 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AI 얘기만 나오면 다들 기대와 불안을 동시에 말합니다. 우리나라가 아시아 허브로 성장할 수 있느냐는 질문은 꽤 현실적인 화두라 봅니다. 현재 정부가 정책 드라이브를 강하게 걸고 있다는 점은 주로 긍정적인 신호로 본다고 합니다. 다만 제 생각에는 단순히 투자 규모만 키운다고 되는 건 아니고 인재 확보와 규제 정비 같은 뒷받침이 있어야 실질적인 경쟁력이 생길 수 있습니다. 사실 체감으로는 대기업 중심 투자가 너무 크고 스타트업까지 파급이 잘 안 되는 게 아쉽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현재 정책적인 지원과 민간 투자로 AI산업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성장의 현실화를 위하여는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래 먹거리 경쟁에서 AI 분야는 핵심 중의 핵심이고, 우리나라도 엄청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전문 인력 양성, AI 연구 네트워크 구축, 인공지능 시대의 인력 개발에 대한 정책적 관심 같은 강한 AI 정책, 특히 AI 에이전트 서비스 혁신이나 온디바이스 AI 같은 첨단 분야에 대한 기대감도 큽니다. 다만, AI 에이전트 분야처럼 아직 기술적 표준이 불안정한 부분과 전세계적인 경쟁이 치열하다는 점은 해결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제 AI에이전트시장이 떠오르고 있고 전세계에서 미국이 주도를 하고 있고 그다음이 에이전트 시장을 중심으로 중국이 강력하게 급부상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의 주요 인력도 중국계인이 대다수입니다. 그 이후부터는 뚜렷한 선도자는 없고 그말은 결국 한국도 충분히 기회가 있습니다.
우선 한국은 기본적으로 하드웨어측면과 인프라면에선 강국이라는 측면과 그리고 메모리를 중심으로 반도체는 최강국중 하나이며 제조업과 AI의 융합 경험도 독보적인 위치에 있습니다. 즉 이를 활용한다면 충분히 아시아의 허브로서 자리를 잡을 수 있고 그런 측면에서 기업들간의 경쟁과 이들의 역량으로 그리고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게 드는 에이전트시장에선 충분히 시장을 노릴수 있고 이미 스웨덴이나 유럽의 일부 국가에서도 AI에이전트에서도 떠오르는 서비스가 나오고 있다는 점입니다. 즉 지금이라도 빨리 AI엔진은 아니더라도 AI 에이전트와 한국니즈에 맞는 AI맞줌화 엔진서비스와 이를 활용한 피지컬 AI에서 기회를 엿보는게 맞다고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인공지능인 AI가 아시아의 허브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갈길이 멉니다. 일단 한국에서도 인공지능 오픈 AI에 대한 사용량이 국제적인 사이트나 프로그램보다 활용성이 뒤지기 떄문입니다. 이 때문에 활용성이나 기술력을 향상하기 위해 국가대표 인공지능 개발팀에 대한 선정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선정 이후의 행보를 지켜봐야 하지만 인공지능 허브가 되기 위해서는 기술력이 높아질 필요가 있다고 생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