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유적지 발굴현장에 발견되는 미라는
옛우리나라 유적지나 세계 고대 유적지를 발굴하다보면 미라를 발견하곤하는데 사람에 신체가 몇백년이나 썪지않고 형체를유지할수있었던이유는 뭘까요?
'미라'는 썩지 않고 건조되어 원형에 가까운 모습으로 보존된 사람이나 동물의 사체를 말하는데요, 연구팀 분석에 따르면 고대 이집트인들은 나일강에서 얻은 일종의 천연소금인 '나트론'을 시신에 채워 약 40일간 체액과 습기를 제거했다고 합니다. 이후 바짝 마른 시신은 흙이나 천을 이용해 생전 크기로 만든 뒤 식물에서 얻은 수액 등 방부처리 물질을 바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방부처리 물질로는 엘레미 나무 수액, 피스타시아 나무 수액, 향나무·사이프러스 나무 부산물과 밀랍을 혼합한 물질들이 쓰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미라의 원리는 기후에 있습니다. 습도와 토양이 적정하지 않으면 시체는 방부 처리가 쉽지 않아 부패되게 됩니다. 상체의 수분이 50% 이하면 세균의 번식도 어렵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집트의 기후가 자연적인 방부 처리가 되기 적합했던 겁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미라를 보면 빠르게 건조가 되어 수분이 거의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집트의 미라는 굉장히 정교한 과정으로 제작됩니다.
상하기 쉬운 뇌, 폐, 위, 간, 내장을 꺼내고 당시는 심장이 종교적 이유로 필요하다 생각하여 보존처리를 하여 다시 안에 넣습니다.
그리고 내장을 꺼내 빈 부분에는 여러가지 향신료 나 포도주 등을 사용해 행군 후 시신을 다시 술과 향유로 씻은 다음
정개부위를 꿰멥니다.
그리고 이런 시신을 탄산나트륨에 파묻어 탈수시킵니다.
이후 다시 술과 향유로 시신을 닦고 여러가지 향신료와 송진이 포함된 수지를 바릅니다.
이후 붕대로 정교하게 감습니다.
처리된 시신을 관에 넣고 매장합니다.
위의 과정으로 상하기 쉬운부분은 다 제거되고, 술과 기름으로 시신을 닦아 소독을하고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기 때문에
오랜시간이 지나도 신체가 썩지않고 형태가 어느정도 유지될 수 있습니다.
미라가 형태를 유지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입니다.
미라는 사람이나 동물의 시체가 썩지 않은 채로 현재까지 보존된 것으로, 우연히 만들어진 천연 미라와 인간이 만든 인공 미라가 있습니다.
시체를 부페하게 만드는 대부분의 박테리아는 극한의 온도에서 번성할 수 없기 때문에 시체를 태양에 노출시키거나 불이나 영하의 온도가 유지되면 미라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부 문화에서는 몸을 굶주리며 부패를 촉진하는 음식만 먹음으로써 자기 미라화를 실천하기도 했고 또한 고대 이집트에서는 시체를 씻고, 심장을 제외한 모든 장기를 제거한 후,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몸과 장기를 소금에 담가, 에센셜 오일과 수지로 몸을 방부 처리하고, 방부 처리된 시체를 여러 겹의 아마포로 감싸는 등의 과정을 거쳐 부패를 막았습니다.
많은 미라는 극도로 건조한 환경에서 발견됩니다. 이집트가 대표적인 예 입니다. 또 묻힌 환경이나 무덤 등에서 산소가 부족한 곳에서는 분해를 일으키는 미생물의 활동이 제한되 자연스러운 미라가 형성됩니다. 산소 부족은 자연적인 보존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국내에서 발견되는 미라들은 이와 같은 이유가 대부분입니다.
미라가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공기가 건조하고 산소가 부족한 환경이기 때문에 세균과 곰팡이가 번식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신체가 썩지 않고 보존될 수 있습니다
고대이집트인들은 미라를 만들때 뇌와 장기등을
모두 제거하여 부패를 막고, 내부이물질을 모두 꺼낸 시체를 탄산나트륨속에 70일간 넣어 수분을 모두 제거하여 미생물 번식을 막아 시신이 부패하지 못하게하여 미라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고대 유적지에서 발견되는 미라가 오랜 기간 동안 형체를 유지할 수 있었던 주된 이유는 건조한 환경과 특수한 매장 방식 때문입니다.
건조한 사막 지역이나 고산 지대에서는 공기 중 습도가 낮아 미라화 과정이 촉진됩니다. 부패를 일으키는 박테리아의 활동이 억제되고 탈수 현상이 일어나 시신이 말라붙어 자연 보존되는 것입니다.
또한 의도적인 미라 제작 방식도 있었습니다. 이집트 미라는 내부 장기를 제거하고 방부 약제를 처리한 후 마른 모래나 소금에 매장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이렇게 제작된 미라는 수세기가 지나도 형체와 피부, 모발 등이 유지될 수 있었습니다. 매장 환경과 기술적 방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고대 미라가 장기간 보존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