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굉장한게논254
굉장한게논254

지렁이는 왜 흙에서 나오나요?

지렁이가 흙에서 나와서 힘겹게

움직이다 거의 100프로사망하는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보도블럭에서 들어갈 때가 없어서

그런줄 알았는데,

보도블럭이 없는 흙인 상태에서도

땅속으로 못들어가고, 죽는것 같습니다.

혹시 자살하러 나온것 처럼 보입니다.

시원한 답변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호탕한개미핥기272
      호탕한개미핥기272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지렁이는 보통 흙, 토양 밑에서 양분을 먹으며 살아갑니다. 그런데 비가오게되면 흙과 토양이 젖게 되어 지렁이가 숨을 쉬지 못하게 되죠. 그래서 지렁이는 비가 오거나 습함을 감지하면 땅 밖으로 나오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지렁이는 피부로 호흡을 합니다.

      하여 땅속이 매우 습하거나 물로 차가되면 호흡을 할수 없어 밖으로 나오게 됩니다

      살기위한 탈출로 보시면 됩니다.

    • 지렁이가 피부로 호흡을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비가 오면 땅 속에 수분이 스며들어 공기를 얻기 힘들게 됩니다.

      따라서 밖으로 나와 직접 공기를 마시려고 합니다.

    • 지렁이는 거의 비가 오는 날에 땅 위로 올라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는 지렁이가 인간과는 다르게 피부호흡을 하는 생명체이기 때문입니다. 피부호흡이란 피부 근처의 모세혈관 속 헤모글로빈을 통해서 산소와 이산화탄소 등의 기체 교환이 일어나는 호흡 방식을 말하는데요, 평상시에는 지렁이가 흙 속에서 생활하지만 비가 오는 날에는 빗물이 땅 속에 스며들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공기층이 막히면서 산소를 공급받기 어려워집니다. 이 때문에 비가 내리면 지렁이가 땅 위로 올라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렁이는 피부로 숨을쉬는 동물입니다.

      비가오거나 비가오기 직전이 되면 공기중의 습도가 높아지고 이 습기에 의해서 지렁이가 숨쉬기가 더욱 힘들어집니다.
      그래서 더원활이 숨을 쉬기 위해 지상으로 나오게 됩니다.

      이때, 비가 멈추거나 맑아져서 태양빛이 들어오게 되면 미처 피하지 못한 지렁이들은 말라서 죽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