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몽유도원도가 일본으로 가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얼마 전에 기사를 통해 <몽유도원도>라는 조선시대 안견이 그린 그림이 일본에서 우리나라로 환수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요. <몽유도원도>가 일본으로 가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으로 참전시마즈 요시히로가 약탈해 일본으로 가져간 것으로 추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몽유도원도는 1447년 안견이 안평대군의 꿈을 그린 그림입니다. 그러나 몽유도원도가 안평대군의 야망을 표현한 것이도 합니다. 따라서 몽유도원도는 계유정난이 일어난 1453년 홀연히 사라집니다. 그리고 440년 뒤인 1893년 일본의 덴리대학교에서 등장합니다. 일본에서는 몽유도원도를 국보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몽유도원도가 일본으로 건너간 이유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임진왜란 당시 제 4진으로 출병한 시마즈 요시히로가 경기도 고향현에 있는 대자암에서 이 그림을 약탈한 것으로 추정합니다. 대자암은 사실은 왕실의 원찰이고 안평대군이 후원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몽유도원도는 안평대군의 꿈 이야기를 안견이 그린 그림인데 꿈은 안 평대군이 박팽년 등과 함께 복사꽃밭을 걸었다는 내용입니다 그림에 안평대군이 쓴 저서와 시 한 수, 당대 명사 21명의 찬문이 덧붙여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런 그림과 시문들을 아울러 몽유도원시축, 혹은 몽유도원시권, 몽유도원도권축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현재 몽유도원도는 일본 텐리 대학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언제 어떻게 일본으로 건너갔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유재란 당시 시마즈 요시히로가 한양(漢陽)에 쳐들어왔을 때 신숙주의 후손가에서 『몽유도원도』를 가져갔을 가능성이 클것으로 추측하고, 이후 『몽유도원도』는 시마즈 요시히로의 후손 시마즈 히사키에게 이르기까지 전해진 것으로 추측한다고 합니다. 정확한 이유는 기록이 없어 알수 없는가 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몽유도원도를 소장 했던 일본소장가 중에서 도진구징(島津久徵)의 생애나 활동을 미루어 볼 때, 1893년 이전에 이미 일본에 있었다는 사실이 추정되고 있으며, 1955년 경부터 덴리 대학이 소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학계에선 당시의 시대적인 상황이나 이 작품의 가치 등을 미루어 보았을 때 사실상 약탈당한 문화재라고 추정하고는 있지만 아직 명확한 증명은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