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05.17

일본의 천황은 하는 일이 무엇인가요??

일본의 정치는 총리가 중심이 되어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 천황은 무슨 일을 하나요?

민주주의 국가에서 굳이 천황이 필요한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7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래는 중국에서 쓰던 말로, 만물을 지배하는 황제라는 뜻이다. 일본 이외의 국가에서는 중국에서 당나라 고종(高宗)이 천황이라 칭한 외에는 예가 없다. ‘천황’이란 일종의 지위를 가리키는 경우와, 그 지위에 있는 특정 개인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전에는 천황은 국가의 원수(元首)로서 절대적인 통치권(정치 대권)과 통수권(군사 대권)을 한몸에 장악하고 행사하였으나, 현재의 헌법에서는 “일본국 및 일본국민 통합의 상징”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일본국의 군주를 만ㄹ합니다.

    역사적으로는 일본의 전통 종교 신토의 주신인 태양의 여신,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를 숭배하는 교파의 대표였던 사람을 부르는 명칭이다.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국가신토의 사실상 교주[5]이자 일본 제국의 대원수로 추대되기도 하였으나, 패전 이후 새롭게 시행된 현 일본국 헌법에서는 '일본국의 상징'이자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으로 정의하고 있다. 국가신도가 폐지된 이후에도 천황은 신관이자 사제이기도 하다.

    일본국 헌법에 국가원수에 관한 직접 규정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국가원수가 수행하는 주요 행위인 '국사에 관한 행위(国事に関する行為)', 즉 내각총리대신과 최고재판소 장관의 임명, 헌법・법률・정령(政令) 및 조약의 공포, 국회의 소집, 중의원 해산 등의 권한이 '상징적'으로 천황에게 있다. 또한 공식적인 의전서열상으로도 천황과 황족들이 내각총리대신 등 관료들을 앞선다. 따라서 일본 내외의 헌법학계에서는 천황을 일본의 국가원수로 인정한다.

    현재 일본의 천황은 2019년 5월 1일에 제126대 천황으로 즉위한 나루히토이며, 연호는 레이와(令和)이다. 4월 30일까지 재위하던 현 천황의 아버지 아키히토는 고카쿠 덴노의 생전퇴위 이후 현행헌법 시행 이후 처음으로, 202년 만에 생전퇴위하여 '상황(上皇)'으로 물러났다.

    [네이버 지식백과] 천황 [天皇]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나무위키 천황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금 일본에는 상황(물러난 왕)도 있고 천황도 있습니다.

    천황은 일본의 군주지만 상징적인 존재일 뿐 실권은 없습니다.

    실제 일본을 통치하는건 내각총리대신(총리)입니다. 국가 원수간의

    회담에도 총리가 나옵니다.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에서 천황의 규정, 천황의 의무와 권리가 적힌 일본국 헌법 1조부터 8조까지를 보면, 그 취지는 천황은 정치적 권력을 갖지 아니하고, 헌법에 명시된 몇몇 상징적이고 의례적인 행위만을 내각의 조언과 승인에 기초하여 행하는, 국가와 국민통합의 상징일 뿐이라는 것입니다.

    일본천황은 상징적인 존재로 정치에 관여할 수 없습니다. 그저 일본국민들의 활력소로써 지진이나 쓰나미가 닥친 재앙이 올때 피해지역을 방문하거나 이재민들을 위로하는 역할을 하며 일본국민들의 사기를 높여줍니다. 비록 실권은 없지만 천황 그 존재 자체로서는 일본 사회의 영향력이 지대합니다.


    출처 - 나무위키 천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