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남다른너구리79
남다른너구리79

통화 공급을 늘리면 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나요?

은화나 금화에 구리를 섞어 통화 공급량을 늘리던 과거 시절에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게 이해가 되는데 현대 지폐는 그저 종이가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대견한아비205
    대견한아비205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화폐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올라 실질적 소득이 감소하는 현상이 인플레이션인데

    인플레이션은 총수요가 총공급보다 많고, 통화량 증가, 생산비 상승, 독과점 기업의 가격 인상에 의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그러나 여전히 지폐는 중앙은행에서 발행된 돈의 대표물이며, 경제적 가치를 대변합니다. 따라서 지폐의 공급량이 증가하면 경제의 통화량도 증가하게 됩니다. 인플레이션은 경제적인 가치와 수요보다 공급이 더 많을 때 발생하며, 이는 통화 공급량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전과 같이 금속을 섞어 통화를 발행하지는 않지만, 중앙은행에서 적절한 통화 정책을 수립하여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통화공급을 늘린다는 것은 단순히 지폐발행은 더한다는 것이 아니라 시중에 유통시키는 화폐의 양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의 뜻 자체가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가 증가하여 화폐의 가치가 하락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기에 화폐의 공급을 늘리게 된다는 것은 곧 인플레이션 상승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통화공급을 늘리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수요 증가: 통화공급이 증가하면 경제주체들이 소비나 투자 등의 활동을 더 많이 할 수 있게 됩니다. 이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수요 증가는 가격 상승 압력을 만들어냅니다.

    2) 통화 가치 하락: 통화공급이 증가하면 통화 가치가 하락합니다. 즉, 동일한 양의 통화가 더 많아지면 각각의 통화 단위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물가가 상승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