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조선업 부활이 우리나라에 조선업종은 호황을 받고 이익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미국이 계속 관세를 부과하고 도널드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오락가락 하는데 이중 조선업종관련 미국이 조선업종을 강화하면 호황을 받고 우리나라도 이익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조선업 부활 정책은 한국 조선업에 양면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이 중국 조선업을 견제하기 위해 무역법 301조를 활용하고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 글로벌 선사들이 중국 발주를 줄이며 한국 기업의 수주 증가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군함특수선 수요 확대와 미국 현지 조선소 투자 유치 정책은 hd현대중공업 등 국내 조선사의 진출 기회를 창출할 전망입니다.
다만 미국 내 조선 인프라 약점이 한국의 경쟁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미국은 조선 인력 부족과 밸류체인 미비로 단기간에 자체 생산 역량을 확보하기 어려워, 한국 기업과의 협력을 적극 모색 중입니다. ships법에 따른 세제 혜택과 선박금융 지원은 현지 투자 유인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인수합병 과정에서의 재무 리스크와 규제 장벽은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조선업 부활 정책은 한국 조선업에 단기적으로 호재로 작용하며 이익을 가져올 가능성이 큽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25년 4월 9일 조선업 재건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중국 견제와 해군력 강화를 목표로 한국과의 협력을 강조했습니다. 한국은 세계 조선 시장 점유율 28%로 기술력이 뛰어나며,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은 이미 미 해군 MRO 유지보수정비 사업과 기술 협력 MOU를 체결하였습니다. 경향신문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의 발언으로 조선주 HD현대중공업 20% 급등가 급등했고, 미 해군 함정 수주와 상선 발주 확대가 기대됩니다. 단기적으로는 미국의 존스법 미국 내 건조 의무 완화 가능성과 90일 관세 유예 10%로 한국 기업의 수출 비용 부담이 줄며 수익성이 개선될 전망입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트럼프의 오락가락하는 관세 정책과 미국 내 투자 요구가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트럼프는 동맹국에 조선소 투자와 인력 양성을 요청하며 패키지 딜을 압박하고 있어, 한국 기업은 미국 공장 설립 약 1조 원 추정 비용과 기술 이전 부담을 감수해야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국경제는 미국이 자국 조선업 정상화 후 한국 의존을 줄일 수 있다고 경고하였으며, 또한, 관세가 2025년 7월 재부과되면 조선 관련 부품 수출에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려면 한국은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RCEP와 인도 시장 수출 2024년 150억 달러 목표을 다변화하고, 디지털 조선 기술 예를 들어 스마트십으로 경쟁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해 관세를 90일간 유예한 결정은 단순한 경제적 판단을 넘어 정치적 전략이 담긴 조치로 보입니다. 이러한 유예는 중국을 고립시키고 다른 국가들과의 협상 여지를 확보하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 1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도 다른 국가들에는 유예를 적용한 이유로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을 언급했습니다. 그는 국채 시장의 반응을 주시하며 사람들이 불안해하는 것을 느꼈다고 밝혔습니다 .
중국은 이러한 미국의 조치에 대해 강경한 대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은 미국의 관세 인상에 맞서 보복 관세를 부과하고, 미국 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 희토류 수출 제한 등 다양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현재 양국 간의 무역 협상은 교착 상태에 빠져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협상을 원하지만 방법을 모른다고 언급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