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에서 지속적으로 맞고 오는 경우에요?
학기초부터 저희 아이와 다툼이 있을때마다 충동적으로 폭력을 쓰는 아이가 있는데 티격태격 하다 꼭 얼굴을 긁거나 꼬집어서 상처가 난 적이 여러차례 있었어요
최근에도 주먹으로 때리고 빨리 가라며 뒤에서 확 밀고...얼굴을 긁어서 눈 안쪽까지 아팠다고 해서 병원진료도 봤구요 담임이랑 원장도 보고 깜짝 놀랐다고 하는데...
유치원에서는 아이들을 되도록 분리해놓으려고 하지만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일은 어쩔 수 없고 부모들끼리 유치원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따로 만나 원만하게 대화하라고 하는데.... 학교라면 학폭접수를 할텐데... 유치원에서 벌어지는 일을 나몰라라하는듯한 유치원의 태도에 너무 화가나네요...
상대방 엄마 만나서 조목조목 얘기하고 재발방지 요청하려고 하는데... 현명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전문가분들의 도움 말씀 부탁드려봐요ㅠㅠ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유치원에서 지속적으로 폭력을 당하는 상황은 부모로서 매우 힘들고 분노를 일으킬 수 있는 일인데요. 아이의 안전과 정서적인 안정을 위해 현명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대방 부모를 만나기 전 몇 가지 준비가 필요합니다. 우선, 상대방 부모와의 대화에서는 감정적으로 대응하기보다 사실을 중심으로 차분하게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겪은 일들과 그로 인한 피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부모로서 그들의 자녀와의 갈등이 얼마나 심각한 문제로 발전했는지를 공유하세요. 이 과정에서 아이에게 가해진 상처나 병원 진료 기록 등 객관적인 자료를 함께 제공하면 상대 부모도 상황의 심각성을 더 잘 인식할 수 있습니다.
그다음으로, 대화의 목표는 비난보다는 문제 해결과 재발 방지를 위한 상호 협력에 있어야 합니다. 상대방 부모가 방어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접근하며, 아이들 간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위한 방법에 대해서도 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유치원 측에 추가적인 감독 요청이나 놀이 중에 서로 더 잘 어울리도록 도와줄 방안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유치원의 책임 부분에 대해서도 계속해서 요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유치원은 학생들의 안전을 지킬 의무가 있기 때문에, 사소한 다툼이라도 반복되는 폭력 상황을 방치해서는 안 됩니다. 유치원 측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개선된 대응 방안을 마련하도록 촉구해야 합니다. 상황에 따라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상담을 요청하거나, 지역 교육청에 문제를 제기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아이가 겪은 정서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가정에서도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들어주고, 안전한 환경임을 지속적으로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친구에게 맞고 온 모습을 보고 굉장히 많이 속상했을 것 같습니다.
부모님도 '속' 이지만 우선은 아이가 친구에게 맞고 아팠을 마음, 상처를 받고 힘들었을 마음을 먼저 치유해 주는 것이 먼저 이겠습니다.
우선은 아이에게 전.후 상황과, 왜 친구가 우리 아이를 때려야만 했을까? 그 이유를 먼저 알아보고 대처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제일 먼저 아이에게 친구가 때렸다면 그 즉시 친구에게 때리는 것은 옳지 않아, 너가 때려서 내 마음은 아프고, 내 몸도 너무 아파 라고 단호하고 똑 부러지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를 해주세요.
그리고 담임선생님과 상담을 통해서 우리 아이를 때린 친구의 행동지도를 부탁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를 때린 친구의 행동으로 보아 행동 과잉 장애의 모습이 보이곤 합니다
가정에서 교육이 전혀 이루어 지지 않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른 아이에게는 하지 않는데 유독 내 아이에게만 폭력을 행사 한다면 내 아이가 만만하거나 약해 보이기
때문 인 것으로 보입니다
당연히 친구 부모님께 사과를 받아야 하고 그런 일이 벌어 지지 않도록 교육 시켜 달라고 해야 합니다
그래도 상대 친구가 좋아 진것이 없으면 다른 곳으로 이동 하는 것도 고려 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지속적으로 폭력이 가해지는 상황은 부모로서 매우 걱정되는 상황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잘 들어주고 위로하며 자신이 보호받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하는것이 중욯ㅂ니다. 유치원 선생님과 긴밀히 소통해 문제상황을 공유하고 대책 마련을 요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