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신기한친칠라145
신기한친칠라14524.02.19

카메라의 역사와 유래를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카메라는 사진을 찍는 도구 입니다. 셔터를 누르면 사진이 찍히는 것인데요. 이런 카메라의 역사와 유래를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카메라의 역사는 카메라 옵스큐라라는

    원리에서 시작합니다.

    카메라 옵스큐라는 어두운 방에

    작은 구멍을 뚫으면

    구멍 반대쪽 벽에 외부 풍경이 거꾸로 투사되는 현상을

    이용한 장치입니다.

    이 원리는 고대 중국과 그리스에서

    이미 알려져 있었으며

    11세기에는 아랍 학자인 알하젠이 이 원리를

    연구하여 기록했습니다.

    16세기에 이탈리아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카메라 옵스큐라에 렌즈를 추가하여

    더 선명한 이미지를

    얻는 방법을 연구했습니다.

    17세기에 독일의 요하네스 케플러는 렌즈의 굴절

    특성을 연구하여 카메라 옵스큐라의 이미지를

    더욱 선명하게 만드는 방법을 발견했습니다.

    1826년 프랑스의 조셉 니세포르 니엡스는

    카메라 옵스큐라에 담긴 이미지를 빛에

    민감한 판에 담아 영구적으로 기록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것이 사진술의 발명으로 여겨집니다.

    니엡스가 사용한 판은 주석판에

    아스팔트 층을 입힌 것으로

    빛에 노출된 부분만 경화되어 이미지가 남았습니다.

    1839년 프랑스의 루이 다게르는 은판에

    빛에 민감한 요오드 증기를 입혀 사진을 찍는

    다게레오타입 방식을 발명했습니다.

    다게레오타입은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했지만 판을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고 단 한 장의 사진만 찍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1851년 영국의 프레더릭 스콧 아처는

    콜로디온 습판 사진 방식을 발명했습니다.

    이 방식은 유리판에 콜로디온 액체를 묻혀 빛에

    민감한 판을 만들고 촬영 후 즉시 현상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지만 다게레오타입보다 저렴하고

    여러 장의 사진을 찍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1871년 영국의 리처드 리치는 젤라틴

    건판 사진 방식을 발명했습니다.

    이 방식은 젤라틴에 빛에 민감한

    은염화물을 섞어

    만든 건판을 사용하여 촬영을 하며 콜로디온 습판

    사진보다 현상 과정이 간편하고 판을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1884년 미국의 조지 이스트만은 롤 필름을

    사용하는 코닥 카메라를 발명했습니다.

    롤 필름은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여 사진 촬영을

    대중화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1975년 코닥은 최초의 디지털 카메라를 개발했습니다.

    디지털 카메라는 필름 대신 전자 소자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기록하며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진을 쉽게

    편집하고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대에는 다양한 기능을 갖춘 디지털

    카메라가 출시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카메라의 발달로 누구나 쉽게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되었으며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여

    자동 촬영 기능 피부 미용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카메라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