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대견한오솔개199
대견한오솔개199

미래식량 특히 단백질 공급원으로의 곤충이나 벌레의 활용 전망은?

미래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도 모르고

식량공급원 특히 단백질 공급원으로써

곤충이나 벌레를 주목하는데요

양식등의 기술적 문제는 커보이지 않는데

과연 실제로 필연적 혹은 사업성면에서

실현가능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미래 식량으로서 곤충의 장점이라면 높은 열량과 친환경적 생산방식, 경제성 등이 대표적입니다.

    곤충은 단백질 함량이 매우 높으며, 필수 아미노산, 건강한 지방, 비타민, 미네랄 등 다양한 영양소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밀웜은 소고기보다 단백질 함량이 높고, 메뚜기는 70%가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곤충은 가축에 비해 사육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훨씬 적고, 물과 토지 사용량도 적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습니다. 게다가 사육 시설이 특별히 많이 필요하지 않으며, 번식에도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곤충 사육은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도 가능하며, 높은 생산 효율성을 가지고 있어 경제적인 식량 공급원이 될 수 있죠.

    곤충은 분말이나 페이스트 형태로 가공되어 단백질바, 초콜릿, 통조림 등 다양한 식품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미 전 세계적으로 25억 명 이상이 곤충을 식용으로 섭취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에서는 개미 두부, 곤충 튀김 등 다양한 전통 요리가 있으며, 일본에서는 곤충 초밥, 미국에서는 메뚜기와 귀뚜라미 요리 등이 있습니다.

  • 곤충은 생산 효율이 높고 환경 부담이 적어 미래 단백질 공급원으로 실현 가능성과 사업성이 모두 높습니다. 이미 식품, 사료, 화장품 원료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되고 있으며, 기존 육류 생산 대비 온실가스 배출과 물 소비량이 적기 때문에 지속가능성 면에서도 경쟁력이 큽니다. 소비자 인식 개선과 규제 정비가 병행된다면 필연적인 선택이 될 가능성도 충분히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필연성도 높고 사업성도 당연히 좋습니다.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대체 단백질 수요가 늘고 식량 문제는 항상 해결해야 될 문제 중 하나이기 때문에 주류 산업의 일부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