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아하그렇구나생각하면 아하!!
아하그렇구나생각하면 아하!!

경제성장과 실업률변화 관계를 설명하는 오쿤의법칙은 무엇인가요?

경제관련용어중에 오쿤의법칙은 경제성장과 실업률변화의 관계라고 알고 있는데요.

이 오쿤의법칙은 어떻게 이 둘의 관계를 말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오쿤의 법칙이란 실업률과 GDP증가율 간의 음의 관계를 나타낸 것을 의미합니다.

      실업률이 1% 늘어날 때마다 국민총생산이 2.5%의 비율로 줄어드는 관계를 가집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 법칙의 이름은 1962년에 실업과 경제성장과의 관계를 밝힌 미국의 경제학자 오쿤(Arthur Okun)의 이름을 따온 것이라고 합니다. 한 나라의 산출량과 실업(失業) 사이에 경험적으로 관찰되는 안정적인 음(-)의 상관관계이다. 이 법칙에 따르면 한 나라의 실업률이 자연실업률에서 1% 상승할 때마다 산출량이 약 2.5% 하락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오쿤의 법칙이라고 하는 것은 국가의 경제 성장과 실업률 변화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경제학 이론을 말하는 것인데, 한 국가의 산출량과 실업률 사이에 경험적으로 관찰되는 안정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말하는 것이에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업률이 1% 늘어날 때마다 국민총생산이 2.5%의 비율로 줄어드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같은 실업률과 국민총생산의 밀접한 관계를 오쿤의 법칙이라 부른다.

    • 안녕하세요. 정민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오쿤의 법칙(Okun's law)

      요약 실업률과 경제성장률의 상관관계를 밝혀낸 법칙으로, 미국의 경제학자 오쿤이 실증분석을 통하여 발견

      오쿤의 법칙은 실업률과 경제성장률의 반비례하는 상관 관계로, 실업률이 감소하면 경제성장률이 일정 비율로 상승하고 실업률이 상승하면 경제성장률이 일정 비율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미국의 예로 실업률이 1% 감소하면 GDP가 2.5~3% 증가한다는 분석이 있으며, 한국의 경우는 1970~1990년대말까지 자료를 근거로 실업률 1% 증가할 때 GDP 3.6%가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구체적으로 실업률이 1% 늘어날 때마다 국민총생산이 2.5%의 비율로 줄어드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같은 실업률과 국민총생산의 밀접한 관계를 오쿤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오쿤의 법칙은 실업률이 1% 늘어날 때마다 국민총생산이 2.5%의 비율로 줄어드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같은 실업률과 국민총생산의 밀접한 관계를 말합니당